도막경화시스템에 대한 비용 대 성능 비교
- 전문가 제언
-
□ 위 논문에서 강조한 도막경화 건조시스템의 비용 대 성능'은 제품경쟁력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공장관리 사항이나, 이외에 '환경을 배려한 경화건조시스템' 및 '불량률 제로를 위한 막 두께관리'에 심혈을 경주하지 않는 한, 제조 원가의 '코스트다운'은 실현되기 어렵기 때문에, 이 2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할 사항으로 검토해 봄도 바람직 함.
○ 경화건조부분은 노(爐)로 보기 때문에, 좁게 생각하면 환경부하는 폐수처리 및 도료에 관련한 재료의 습식관련이 크고, 도료에 관한 개선에 기대가 많기 때문에 환경배려에 관여치 않을 것으로 생각되나 도장라인 전체의 환경부하가 커서 환경대응 경화건조 시스템을 고려한 것이어야 함.
- 시스템에서 고려하여할 사항은 노(爐)의 회분식 경우에는 건조시간단축, 문의 개폐빈도, 운반시스템, 연속식 노(爐)의 생산성문제, 전체적인 배열의 재이용 관련 에너지절약 문제, 열원의 선택, 전방위 환경부하를 위한 환경관리, 콤팩트한 도장라인, 건조조건의 재검토,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저감대책, 반사이용의 중요성 인식, 보틀넥 공정 능력 100% 향상, 불량발생 전의 관리로 발상전환.
○ '불량률 제로를 위한 막 두께관리'는 도료의 시스템에 대한 효율성․수익성을 목적으로 하는데, 막 두께에 기인하는 '불량 제로'를 목표로 하는 막두께 관리를 생각한다면, 여기에 맞는 기기․방법․시스템은 여러 가지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막두께 관리방식은 어떤 방식을 선택하고, 도막측정방식은 접촉식이냐 비접촉식이냐, 또한 접촉식의 막두께는 습식필름식 빗형이냐, 분체경화전(前)용이냐, 비파괴식 간조 후 도막의 측정이냐, 프로브(plobe)형화 분리형이냐의 선택의 중요성 강조되는 것이고, 사용상의 주의 점은 정밀기계임을 명심, 정밀도는 기계의 노후화로 열화문제, 및 플라스틱 도장인 경우에는 '쐐기 형 절삭법'으로 막 두께를 측정할 것인가 등을 검토하여야 할 것임.
- 저자
- T. TAT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43(9)
- 잡지명
- 도장기술(L11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67~72
- 분석자
- 임*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