촉매 담체용 제올라이트(zeolite)의 성능과 합성
- 전문가 제언
-
□ 제올라이트는 분자 크기의 균일한 결정 내에 세공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흡착체, 이온교환체, 촉매로서의 높은 기능성을 가진 재료로서, 근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제올라이트는 이미 30년 전부터 석유정제, 석유화학을 비롯해 폭넓은 분야에서 특색을 가진 촉매로써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나노 크기의 세공을 갖는 메조 세공을 가진 제올라이트가 개발되면서 고기능성 촉매로서의 응용이 세계적 관심으로 되고 있다.
□ 국내 산업에서 촉매의 사용 주체는 석유정제 및 석유화학분야와 자동차 배출가스 정화용 촉매로 대표되는 환경오염방지 분야로 구분되지만, 이 두 분야 모두 대규모 제품 생산기술로 이미 성숙되어 있으나 주변기술로서 경쟁력을 갖춘 촉매공정의 산업화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 환경오염방지 분야의 중요성이 산업화와 더불어 크게 부상되어짐에 따라 오염물질의 사용 및 방출의 규제가 점점 더 강화되는 추세이며, 환경오염물질 처리용 촉매분야가 전체 촉매 공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해, 앞으로 가장 큰 촉매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 국내의 경우, 자동차 배출가스 정화용 촉매만이 외국 기술에 의존해 합작형태로 생산되고 있을 뿐으로 환경용 촉매의 기술수준과 촉매 시장은 미개척 수준이라 할 수 있다.
□ 향후, 국내의 환경용 촉매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수요업체와 제조업체가 긴밀하게 연계하여 화학공업 제조공정에서도 오염을 절감시키고 공정을 단순화하여 오염물질의 배출을 억제하는 방향으로의 연구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공정의 경제성이 재평가되고 최적화된 신규 화학공정의 개발이 추진되어야 한다.
- 저자
- Satoshi Yamazak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49(9)
- 잡지명
- Chemical engineering(A17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663~668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