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화학 기업에서의 환경 경영과 CSR : Tokuyama

전문가 제언
□ 화학 산업은 우리가 얻는 혜택이 큰 만큼 환경에 대한 영향 또한 지대하므로 화학 산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환경친화형 구조로의 전환이 절실하다.

□ RC는 화학제품의 전 과정에 걸쳐 환경과 인간을 배려하고, 이를 경영방침으로서 실행·개선하는 생산자 주도의 자발적 운동으로, ICCA(The International Council of Chemical Associations)와 기능별 산하그룹 국가인 RCLG(Responsible Care Leadership Group)를 중심으로 활발히 추진되고 있으며, 운영회원국(세계 화학품 생산의 5% 이상), 참가회원국(5% 미만), 준 회원국(ICCA 회원가입자격 일부 구비 국가) 등이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1999년 12월 환경・안전・보건 분야의 상호협력과 RC 도입을 위해 석유화학 39개사, 정밀화학 6개사, 비료 3개사, 소다 2개사, AmCham(The American Chamber of Commerce) 10개사, EUCCK(The European Union Chamber of Commerce in Korea) 10개사 등이 「한국 RC협의회」를 창립했으며, 2000년 9월 포르투갈 RCLG 회의에서 정식 회원국으로 가입했다.

□ 네덜란드는 97년 환경관리법 개정으로 환경부하가 큰 300여개 업체에 대해 환경보고서 작성을 의무화했으며, 프랑스는 2001년 5월이 신경제규제법에서 모든 상장기업은 2003년 이후 연차 재무보고서에 사회적 책임 항목으로 노동 및 고용, 보수, 기회균등, 교육훈련, 안전 및 위생, 지역공헌 등과 환경적 책임 항목으로 환경영향이 현저한 특정 천연자원과 재생 가능한 에너지의 사용현황, 대기 및 수질오염 상황 등을 의무적으로 포함시키도록 했다.

□ 업종 특성상 환경관리 소홀시 기업 이미지 손상 및 큰 손실이 불가피한 화학업체들은, 환경경영 우선정책과 함께 사회공헌 활동에도 많이 참여하고 있다. 문제는 중소기업이다. 대한상의의 자료에 의하면 선진국 시장의 환경규제를 인식하는 중소기업은 2004년 들어서도 20~30%에 불과했다. 협력업체의 20%를 정리하면서 철저한 환경규제 대응체계를 만든 Sony는 환경 관련 62개 항목 중 필수항목 17개 이상, 총 80점 이상이 되어야 파트너로 선정한다. 이제 우리 화학 산업계도 지금까지 실천해온 환경안전보건 개선 활동을 바탕으로 한 각 분야, 각 사업장에서의 보다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자
HONNDA Masahir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51(11)
잡지명
화학경제(A029)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87~95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