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폴리머 성형가공 학회 연차 대회 [PPS-20] 리포트
- 전문가 제언
-
□ 압출 및 성형부분은 점핵성의 효과를 고려한 고분자 가공설비의 설계, 실험을 통해서 재료의 특성과 점핵성을 고려한 제품을 생산하고 가공기계에 대해서 검토한 것이다.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부분에서 J.F.Agassant는 사출성형을 위해 새로운 3차원 유한요소 모델에 대해서 보고, H.Stoll은 사출 압축성형의 공정의 모델과 시뮬레이션에 대해 강연하였다. 사출성형 부분에서 S.Liu water assist 사출성형에 대하여 보고, 플라스틱 성형품의 경량화와 수지비용의 절약의 측면에서 주목을 받았다. 독자적으로 제작한 사출성형을 사용하여 성형조건과 성형품의 관계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 공정부분에서 K.Alam은 사출성형에 있어서 런너 배치(runner balance)에 대해 보고하였다. 혼합과 합성의 발표는 모두 28건이 등록되고, 영국의 C.B.Buknall은 "경질폴리마의 고무에 의한 강인화"를 비롯 2건, 기조 강연이 3건, 구두 발표가 19건 및 포스터 발표가 4건 있었다. 반응적인 처리부분에서 미국의 C.Wmacosko의 "합성의 상용화를 위한 폴리머-폴리머 반응"에 대해서 발표가 1건, 기조 강연 1건, 일반 강연 12건, 전체 14건의 강연을 하였다.
□ 전체 강연으로서 미국의 C.Wmacosko의 "합성의 상용화를 위한 폴리머-폴리머 반응"에 대해서 발표를 하였다. 복합(Composite) 관련해서는 미국 Ohio주립대학의 A.J.Epstein은 "도전 폴리마의 제어"에 대해서 발표를 비롯하여 13건의 발표가 있었다. 나노복합물(Nanocomposite)과 관련해서는 미국의 E.P.Giannelis는 "폴리머 나노복합물은 보다 작은 것이 좋은 것"이라고 발표를 했다. 또한 미국의 R.A.Vaia는 "폴리마 나노복합물의 계면제어"에 대해 발표하였다. 구두발표 18건, 포스터 5건의 발표가 있었다.
□ 경량복합 재료에서 반응사출성형을 위하여 폴리우레탄의 미세포 형상구조의 초음파 가공방법과 기포형성을 핵생성이론과 실험이 요구된다. 또한 결정성 수지는 미세구조의 변화에 따라 물성이 달라지므로 사출성형의 물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성형 중에 열이력, 전단이력이 결정화 거동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고 미세구조를 제어하는 것이 요구된다.
- 저자
- Kazuhisa Kubota ; Fumihiko Yazak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50(9)
- 잡지명
- Plastics age(D04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61~84
- 분석자
- 임*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