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도장전 제진·제전기의 활용과 도입효과

전문가 제언
□ 좀 큰 먼지나 미세먼지는 기계적 및 전기·전자적인 모든 문제발생원인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대부분 + 나 -의 정전기로 띠로 되어 있어, 서로 끌어당긴다. 대기 중에는 + 나 - 로 대전되어 있는 먼지가 무수히 많기 때문에 대전되어 있는 모든 물질에 달라붙게 된다. 이런 정전기 현상은 도장, 증착 및 풀칠도포 등에는 표면에 부착한 먼지 부분이 부풀러 올라서 얼룩짐으로 나타내기도 하고, 자동차의 문을 열기 위해 손잡이를 잡는 순간 손이 찌릿찌릿한 것을 자주 경험하는데, 이런 정전기는 컴퓨터의 주요 부품을 훼손하기도 하고, 가스나 휘발유가 있는 곳에 정전기에 의한 불꽃이 튀면 불이 나기도 한다. 이렇게 일상생활에서 정전기는 흔하게 겪게 된다.

□ 플라스틱판이나 필름을 취급하는 작업에서는 정전기가 발생하기 쉽고, 작업자가 쇼크를 받는 경우도 있다. 정전기 방전에 의한 불쾌감은, 작업 효율의 저하로 연결될 뿐만 아니라, 정전기 방전의 쇼크에 놀라, 기절·넘어짐 등의 2차 재해가 일어나지 않는다고 장담 못한다. 이러한 작업자에 대한 정전기의 불쾌감을 줄이려면 , 가습기의 설치나 살수에 의해 작업장소의 습도를 상대습도 65%이상으로 올리고, 대전하기 쉬운 플라스틱 등의 소재에, 카본이나 금속 가루 등의 도전성 물질을 도포·혼입해 도전 화하는 등의 대책도 있으나, 제조 공정이나 제품에 지장을 초래하는 장소에서는, 이러한 대책은 한정적이기 때문에, 제전기를 설치해 대책을 강구하여 대처하여야 한다.

□ 여러 방법 중 제전기를 사용한 정전기 대책에는, 전기적으로 한쪽의 극성이 치우친 물체에, 반대극성의 전하를 보충하는 것으로 물체를 전기적으로 중화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 때 전하를 보충하는 중요한 역할을 완수하는 것이 공기 이온으로, 공기 중에 포함되는 질소나 산소, 물 등의 분자가 전기적으로 뿔뿔이 흩어지는 전리를 발생시켜, 공기 이온은 마이너스와 플러스 어느 쪽의 극성을 띠어, 각각 반대극성의 전자와 결부되어, 전기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만드는 방식이다. 이런 방식에 제전기는 공기의 분자를 뿔뿔이 흩어지게 하는 방법에 따라, 광조사식과 코로나 방전으로 나눌 수 있다.
 
○ 광조사식의 제전기는, X레이보다 좀 더 미약한 연성X선으로 불리는 X선의 일종을 사용해 공기 중의 분자를 분해해, 대량의 공기 이온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광조사식의 특징은, 연성X선이 맞은 물체의 공기는 모두 이온에 의거 분해되어 제전 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제전하고 싶은 대상물의 바로 옆에서 이온이 생성되기 때문에, 무풍 상태에서도 제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 코로나 방전은 섬유나 와이어의 첨단 등 바늘과 같이 뾰족한 것에 고전압이 걸렸을 경우에 일어나는 방전 현상으로, 방전한 전자는 공기의 분자와 부딪쳐서 공기 이온을 생성한다. 이 현상을 이용하고 있는 것이 코로나 방전식의 제전기인데, 발생한 이온은 기류에 의해 제전대상물의 아래에서 옮겨지는지, 제전대상물 자체의 정전기에 의해 끌어 들일 수 있어 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중화하는 것이다.

□ 위에서 언급한 먼지 제거 및 제전 기술은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텍크라인 및 저스트텍 같은 중소기업에서 신기술로 상품화되어 응용되고 있다.
저자
M. TAKAYANAG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43(9)
잡지명
도장기술(L110)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73~77
분석자
임*웅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