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에 착안한 건강증진활동을 지원하는 정보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는 2010년경 노인인구비율이 10.7%에 도달하는 고령화사회로 접어들고 있으며, 질병구조의 다양화 만성화에 따라 국민건강증진활동은 더욱 중요하게 제기되고 있다.
□ 특히 치료차원보다도 질병원인을 제거, 예방하여 건강잠재력을 제고하기 위한 예방 차원의 적극적인 건강관리정책이 필요하다.
□ 최근 국민의 보건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금까지 의료기관의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건강증진서비스가 전환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건강증진 인프라구축사업이 시급한 실정에 있다.
□ 현재 우리나라도 당뇨·고혈압 등 주요 만성질환에 대한 국가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5대 만성질환 DB 구축, 만성질환 등록관리사업 강화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보건소를 중심으로 당뇨, 혈압관리 등 고위험자 대상으로 방문보건사업도 실시하고 있다.
□ 이러한 시기에 일본의 개인에 착안한 건강증진활동을 지원하는 정보시스템의 개선 방향은 우리나라에서 현재 추진하고 있는 만성질환에 대한 감시체계지표개발사업에 있어 지향해야 할 적절한 과제라 하겠다.
- 저자
- tatzigaw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4
- 권(호)
- (43)
- 잡지명
- 일본과학기술정책동향(월보)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10
- 분석자
- 오*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