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를 연결하는 파이프 라인
- 전문가 제언
-
□ 한국, 일본, 중국 등 동북아 3국은 에너지 중동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기 때문에 중동-Malacca해협-Senkaku열도-한국으로 오는 수송로도 취약하고 아시아 프리미엄(아시아 석유 수입국이라는 이유로 추가로 더 내는 가격)이라는 추가 비용까지 내야 한다. 현재 원유업계에서 새로운 핵심 전략지역으로 떠오르고 있는 러시아나 카자흐스탄에서 에너지 개발에 참여하게 되어 이런 공급문제를 해결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 중국은 전통적인 원유산지인 동북부 Daiching 유전의 생산력이 감퇴하면서 동시베리아 송유관을 통해 러시아로부터 공급받는 것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일본도 동시베리아 송유관을 연해주의 Nakhodka로 끌어오면 중동 의존도를 낮추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 한국이 시베리아 에너지 자원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지 못한다면 국가 경쟁력에 치명적인 손실을 입게 돼 21세기를 주도해나가기 어렵다. 시베리아 천연가스가 개발되면 동아시아 여러 나라는 중동산과의 경쟁관계를 이용하여 구매자가 주도권을 쥐는 방향으로 에너지 시장을 바꿔나갈 수 있다.
□ 동북아 에너지 협력 사업을 위한 정부의 구체적인 지원 대책이 나와야 한다. 또 정보 수집능력과 분석 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야 각국의 에너지 전략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에너지 개발 조직을 회복시켜 조직적으로 지원하고 정부, 민간, 연구소, 기업 등이 유기적으로 역량을 모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 저자
- Techno Scop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9(1)
- 잡지명
- 후에라무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6
- 분석자
- 김*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