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로봇 외과수술의 최신정보(Robotic surgery update)

전문가 제언
□ 의료용 로봇의 연구 분야는 크게 네 분야로 나누워서 진행되고 있다. 수술실에서 집도의사의 명령에 따라 수술을 보조하는 수술 보조 로봇, 의사를 대신하여 수술과정의 전체 혹은 일부를 의사를 대신하거나 의사와 함께 수술 작업을 하는 수술 로봇, MRI나 CT등을 이용하여 가상의 환자와 촉감장치를 이용한 수술 시뮬레이터, 장애자나 노인층의 독립적인 활동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재활 로봇의 분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외과의사를 대신한 로봇 수술로서 다빈치 시스템과 제우스 시스템에 관하여 언급하였고, 로봇 수술 기술과, 원격제어 수술 등에 최근정보를 서술하고 있다.

□ 의료용 로봇의 개발은 미국, 독일, 일본 등의 선진국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오다가 그 실현가능성과 상업적 가치가 검증되면서 최근 들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의료용 로봇에 대한 현재의 개발수준은 초기단계이지만 특정 분야에서는 이미 상용화 되었거나 실용화를 위한 임상 평가 단계에 있다. 수술 보조 로봇으로서 대표적인 것은 미국의 Computer Motion사의 AESOP와 영국 Armstrong Healthcare 사의 Assist가 개발되었고, 영국 Imperial 대학에서 개발한 ROBOSCOPE가 현재 연구 중에 있다. 원격 수술 로봇으로서 대표적인 것은 미국의 NASA JPL의 RAMS, Computer Motion사의 ZEUS 시스템, Intuitive Surgical System 사의 da Vinch 시스템이 있고, 각국의 대학에서 원격 수술 로봇 시스템의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국내의 의료용 로봇 시스템의 관한 연구는 아직 초보단계에 있지만 KAIST의 텔레 로봇틱스 및 제어연구실의 미세수술용 원격수술 로봇 시스템을 개발하였고, 고관절 전치환 수술을 위한 ARTH ROBOT 도 개발하였다. 세계적으로 로봇에 의한 집도 혁명이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이러한 수술 로봇 시스템을 도입하여 시술하고 있는 병원들이 많이 있다. 서울 아산병원에서 음성인식 로봇시스템으로 심장 수술을 하였고, 수원에 있는 이춘택 병원에서 세계 최초로 로봇 인공관절 재수술에 성공했다. 기존의 의료 환경을 개선하고 국민의료 복지 증진에도 기여하면서 의료 로봇 시장을 확보할 수 있는 우수한 의료 전문가와 로봇 관련 전문가의 적극적인 상호협력이 요구된다.
저자
Jacobsen, G; Elli, F; Horgan, S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18(8)
잡지명
SURGICAL ENDOSCOPY AND OTHER INTERVENTIONAL TECHNIQUES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186~1191
분석자
주*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