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여드름에 관한 2004년 최신정보 (Acne update: 2004)

전문가 제언
□ 여드름의 최근 치료연구는 털 기름샘의 이상을 가져오는 요인들을 탐구하는 것을 위주로 하고 있으며, 새로운 연구들에 의해 오래된 여드름의 패러다임이 계속 진화되고 있다. 여드름 치료에는 우선 모낭피지 단위, 여드름 염증에 관여하는 특정한 매개체의 확인 등의 생물학적 지식이 필요하며, 대표적인 치료약물로서 경피, 침투성 resinoid 등이 있고 최근의 새로운 경향으로 복합약제 치료, lopoxygenase 저해제 그리고 레이저를 사용하기도 한다. 또 유념할 것은 항생제 저항성 Propionibacterium 균주의 발생에 대한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

□ 여드름은 틴에이저에 주로 나타나는 피부병이지만 20대 30대에도 시작될 수 있다. 이는 생명에 위험을 주는 병은 아니나 현저한 물리적 심리적 문제를 동반한다. 예를 들면 얼굴, 가슴, 등에 상처를 남길 수 있고 보기가 좋지 않아 사람 만나는 것을 꺼리게 되고 우울증에까지 이를 수 있다. 여드름의 치료는 이러한 면에서 자신감을 주고 사회생활을 하는데 활력을 준다.

□ 여드름과 상처의 치료에는 여러 가지가 있어 그 요인에 따라 다르다. 상처의 종류, 질병기간, 치료에 대한 과거와 현재의 반응, 상처와 여드름 장소에 의하여 치료가 다를 수 있다. 증상을 알고 초기 치료를 하는 것이 여드름관리에 필수 조건이다. 현재의 약물치료는 경구 피임약, 코티코 스테로이드, 경피 항생제가 주를 이룬다. 치료에는 심리적 요소도 영향을 미친다. 또 개인위생도 큰 역할을 한다. 치료에 두 가지 알아두어야 할 사항이 있는데 첫째는 치료효과가 나타나려면 6~8주의 치료가 필요하고 몸의 상처 즉, 어께, 등, 가슴 상처는 얼굴 상처보다 경피 치료로 늦게 개선된다는 사실이다.
저자
Smolinski, KN; Yan, AC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16(4)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PEDIATR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385~391
분석자
이*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