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성플랑크톤의 휴면-유도와 종료 및 물밑에서의 커플링의 중요성(Dormancy in freshwater zooplankton: Induction, termination and the importance of benthic-pelagic coupling)
- 전문가 제언
-
□ 우리가 수질 환경적으로 대단히 중요하게 생각하는 육상에서의 호수나 연못 같은 담수에 존재하는 동물성플랑크톤은 그것 자체가 거기에 서식하는 물고기의 먹이로써 중요하고 이런 동물성플랑크톤은 외부환경요인에 대단히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독성물질 및 화학물질에 약하기 때문에 육상생태계의 환경보존적인 측면에서의 건강성지표와도 대단히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어서 이것들의 활동과 휴면현상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야 하겠다.
□ 담수에서는 일반적으로 살아서 활동하는 동물성플랑크톤개체수보다 오히려 더 많은 수의 휴면상태로 존재하는 개체가 있기 때문에 주로 이들 정지란이 무더기로 있는 호수침강층을 생태학적으로는 자연 상태로 잘 보존해야 할 필요가 있고 가능한 한 호수의 수량 및 수질에 큰 변화가 없도록 해야 하고 침강층을 준설하는 행위(일시적인 준설작업에 의한 퇴적층의 제거보다는 점진적인 제거가 원칙)도 숙고해야 할 것이다.
□ 동물성플랑크톤이 휴면단계에 돌입하면 공간적인 분포분산이나 개체수의 생태학 및 유전적인 종의 진화에 이르기까지 그것이 갖는 의미가 크기 때문에 앞으로는 활동 중인 동물성플랑크톤의 연구에 못지않게 휴면상태의 유도에서 부화에 의한 종료단계에 이르는 플랑크톤의 일생에 대해 자연환경과의 상호역학관계를 좀더 깊이 있게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
□ 본 논문은 특히 내수면의 담수를 대상으로 서식하는 동물성플랑크톤의 휴면상태가 수생태계에서 여러 외부적인 환경신호에 의해 어떻게 시간적으로 유도되고 어떤 조건에서 휴면상태가 종료되는가를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리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이 분야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들이 참고로 하여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으면 한다.
- 저자
- Gyllstrom, M; Hansson, L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66(3)
- 잡지명
- AQUATIC SCIENC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74~295
- 분석자
- 한*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