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거대분자 플라스마 화학: 폴리머 과학에 뜨는 분야(Macromolecular plasma-chemistry: an emerging field of polymer science)

전문가 제언
□ 무기물질은 유기물질에 비하여 상당히 열적으로 안정되어 보통 고체, 액체와 기체의 형태로 존재하며 주어진 온도와 압력 조건에서 상태 간 전환한다. 그러나 상압에서 5000K의 온도에서 물질은 오직 기체 상태로만 존재한다.

○ 10,000K 이상에서는 이온이 물질의 입자에 주 구성성분이 된다. 이 상태 또는 그 이상의 온도에서 물질을 플라스마 상태로 간주한다. 더 높은 온도로 유도하면 이온화가 매우 높아지고 온도 108K나 그 이상에서는 핵과 전자의 혼합체가 된다.

○ Sir William Crooks는 이를 ‘물질의 네 번째 상태’로 규정했고 Irving Langmuir가 처음으로 이 상태 물질을 ‘플라스마’라 명명했다. 따라서 물질은 온도를 높일수록 고체, 액체, 기체 그리고 마지막으로 플라스마의 네 개의 상을 가질 수 있다.

□ 이 플라스마는 인간도 만들 수 있다. 그 중 뜨거운 플라스마는 유기물질도 완전히 원자 이온 형태로 전환시킨다. 그러나 찬 플라스마는 유기물질을 분해하여 이온이나 자기유로 분해하지만 아직도 유기물질로서의 Identity는 유지한다. 따라서 찬 플라스마는 유기 화학공학에 우수한 기술로서 이용될 수 있다 . 본문은 이에 관한 개관이다.

○ 본문의 전기 전도성 폴리머는 이미 여러 실용적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그 중에는 정전기 없는 코팅, 레이더 파를 흡수하는 층, 방-부식제가 있으며 장래에는 초경량 배터리, 전자기파 차폐 막, 평면 패널 화면, 바이오센서, 인공 신경 등에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비-자성체에 자성 나노 입자의 삽입 기술도 많은 분야에서 응용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 중에도 작으나 효율적인 데이터 저장 도구, 암 세포에 정확한 약물 전달 시스템, 추적자를 방사선물질에서 의학적으로 무해한 영상 매체로의 대체, 자성 나노-입자에 의한 유독성 폐기물로부터 방사성 금속을 흡착하여 폐기 등 혁신적 기술의 등장을 예고하고 있다.
저자
Denes, FS; Manolache, S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29(8)
잡지명
Progress in Polymer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815~885
분석자
김*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