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초전도전자공학에 응용되는 마그네슘 다이보라이드 박막(MgB2 thin films for superconducting electronics)

전문가 제언
□ 고온초전도체가 발견되자 과학기술계는 물론이고 일반인들도 관심을 갖게 된 이유는 이 물질이 실용화되었을 때 파급효과가 엄청나기 때문이었다. 과학기술계는 예상하지 못한 높은 임계온도(Tc)에 놀라고 300 여종의 산화물 고온초전도체가 존재한다는 사실에도 놀랐다. 그 후 20 여년 가까운 기간동안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아직도 실용화에는 많은 난관을 극복해야 하는 상황이다.

□ 2001년에 발견된 MgB2는 고온초전도체와는 달리 구조가 간단하고 초전도성의 기본원리가 이미 알려져 있는 BCS초전도체이면서도 Tc가 40K이어서 상용화된 저온냉동기를 사용하여 초전도체로 만들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관심을 끌고 있다.

□ 전력분야와 같은 대규모응용에는 선재나 테이프로 만들어야 하므로 MgB2도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은 반면에 박막형태로 이용하는 초전도 전자공학에서는 이미 고품질의 박막과 간단한 장치제작에 성공하였으므로 앞으로 전망이 매우 밝다.

□ 특히 고압에서 단결정성장과 two-step growth방법에 의한 박막제조기술은 포항공대를 위시한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고 수준이므로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여건이 되면 세계적으로 자랑스러운 연구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저자
Naito, M; Ueda, K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17(7)
잡지명
Superconductor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18
분석자
박*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