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리튬이온 이차전지 음극재로서의 천연흑연/ 탄소복합재료 (Natural Graphite/Carbon Composite Anode Material as Lithium Ion Battery)

전문가 제언
□ 최근 우리나라도 리튬이온 2차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여 그에 따른 개발제품이 실용화 되어 정보화용 소형 컴퓨터, 시계용 등의 2차전지로서 시판되고 있다. 그런데 전지의 수명이 선진국의 제품에 비하여 떨어진다고 한다. “리튬이온 이차전지 음극재로서의 천연흑연/ 탄소복합재료”에서는 리튬전지의 단점이 음극재료에 있다고 판단하고 천연흑연/탄소복합재료로 대체 개발한 내용이 많은 참고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 리튬이온 2차 전지는 높은 에너지밀도 및 고효율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는 반면, 충전성, 방전성 및 출력특성 등에서 해결해야 될 문제점이 있으므로 출력에너지를 대용량화 하려면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 리튬이온 2차전지에서 실용적인 출력을 얻으려면 현재의 기술 상황으로 보아 단점을 외부회로에 의해 제어할 필요가 있는 것 같다. 예를 들면, 콘덴서 등의 혼성화가 요구되는 것 같다. 다행히 종전의 리튬2차전지의 음극재료를 천연흑연/탄소복합재료로 대체하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고 하니 향후 필수불가결한 에너지의 저장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저자
Kenji Fukuda ; Tatsuo Umeno ; Yoichiro Har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17(1)
잡지명
Materials integration(E136)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5~50
분석자
오*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