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극이나 환경에 응답하는 새로운 액정성 분자복합체의 구축(Development of Novel Liquid-Crystalline Complexes responsive to Stimuli and Environment)
- 전문가 제언
-
□ 생체분자는 분자 내에 상호작용 부위를 수많이 가지고 있어 분자 간 상호작용에 의해 안정한 분자 집합체를 형성하여 동적인 기능을 발휘하고 있다. 특히 수소결합은 과도한 결합 에너지를 가지고 있고 결합의 형성·해리나 조합 변환이 온화한 자연의 조건 하에서 진행한다. 생체 시스템은 이 특성을 이용하여 정보전달, 분자인식, 수송, 촉매라고 하는 우수한 기능을 발휘하고 있다.
□ 생체계의 특징인 상호작용·다양한 분자의 복합체라 하는 관점을 액정재료의 분자설계에 도입하여 초분자 액정·이방적 이온 전달성 액정·액정 겔 등의 다양한 기능성 액정 재료를 만들어 내고 있다. 이러한 재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분자의 집합·복합화에 의한 새로운 기능성 액정이 개발하여 실용화하려는 노력이 최근 들어 많이 행하여지고 있다.
□ 인공(人工)계 기능성 액정재료 구축에 있어서도 생체와 같이 수소결합 등의 상호작용에 의한 분자 복합체를 이용하면 정보전달·분자인식·환경응답 또는 감지(sensing) 재료 등의 다양한 동적 분자기능을 발휘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거대 분자 액정은 수소결합 등의 형성으로 복수의 분자가 명확한 복합구조를 형성한다.
□ 지금까지 저분자계로부터 고분자계까지 다양한 구조·기능의 복합체가 구축되어 왔다. 최근에 들어 액정의 대표적인 첨단 응용 분야는 디스플레이 분야의 표시소자로서의 기능이다. 향후에는 더 나아가 생체 화합물과 인공계 기능재료를 융합함으로서 새로운 형태의 물질을 탄생시키는 연구개발로 발전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Masayuki Nishii ; Takashi Kat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24(1)
- 잡지명
- 기능재료(D32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3~29
- 분석자
- 김*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