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발광성과 액정성의 융합을 위한 고분자 설계와 제어(Design and Control of Polymers with Luminescence and Liquid Crystallinity)

전문가 제언
□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는 영상 매체의 대형화 및 평면화 그리고 여러 기능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가 필수적이다. 디스플레이의 종류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전기 발광 디스플레이(ELD,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등 여러 가지가 있다.

□ 전기 발광을 이용하는 소자는 현재 각광을 받고 있는 LCD와 같은 수광 형태의 소자에 비해 응답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고, 또 발광 형태이므로 휘도(輝度)가 뛰어나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ELD에서는 전류가 흐르면서 발광하는 경우와 전류가 흐르지 않고 전기장에 의해 발광하는 경우가 있다. ELD에 대한 연구는 발광의 기본소자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유기물을 이용한 발광소자는 기계적 강도가 낮고 열에 의해 결정화가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고분자를 이용하게 되었다. 고분자는 저분자 유기물에 비하여 기계적 강도가 좋고 열안정성이 높으며 유기물과 같이 다양한 합성 경로로 개발되고 있다.

□ 1990년 영국 Cambridge 대학에서 PPV(polyparaphenylenevinylene)이라는 π-공역고분자에서 EL이 관찰된 이래 고분자를 이용한 EL에 대한 연구기 활발해졌다. π-공역고분자는 σ-결합과 π-결합이 교대로 있는 화학구조를 기지고 있어 전자가 편재(偏在)되지 않고 결합사슬을 따라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π-전자를 가지고 있다.

□ 고분자 발광재료의 발전은 고분자 전기 발광 소자의 상업화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한 구조의 고분자들이 개발되었고,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응용성을 갖춘 재료들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고분자 전기 발광 소자에서 가장 문제시 되어왔던 소자의 수명 문제도 재료의 고순도화를 통해서 어느 정도 해결되고 있다.
저자
Kazuo Akag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24(1)
잡지명
기능재료(D323)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71~82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