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야생동물의 수입현황과 유입대책의과제/Dealing with Exotic Species as an Environment Problem : (4) Wildlife Imports and the Challenges of Port-of-entry Control

전문가 제언
□ 문명이 발달하고 생활이 윤택해진 현대사회에서 야생동식물은 관상용이나 애완용으로 사용됨으로서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하고 있다.

□ 야생동식물의 가치는 생태적 및 경제적 가치 외에 지금은 사회적, 심미적 및 교육적 가치가 점차 커지고 있어서, 최근 들어 애완용 및 관상용으로 야생동식물의 수입이 급증하고 있음이 이를 말해주고 있다.

□ 이미 국내 애완시장은 국민경제에서 조 단위를 넘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애완관련 시장도 점차 커지고 있는데, 수입되는 야생생물의 종류도 조류에서 원숭이류, 파충류, 곤충에 이르기까지 다양화하고 있다.

□ 우리나라도 1993년에 CITES(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의 국제거래협약)에 가입하고, 이에 해당하는 동식물은 수출입허가제를 실시하고 있는데, 상당수가 이미 국내에서 불법 유통되고 있는 현실이다.

□ 우리는 60~70년대에 양식 목적으로 수입된 생물들이 국내 생태계를 교란시켰던 경험을 갖고 있는데, 황소개구리나 배스 등이며, 이후 애완용으로 수입된 붉은 귀거북도 현재 생태계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 일본은 야생생물의 수입현황과 실태를 잘 보여주고 있는데,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상당부분 정도의 차는 있겠지만 동일한 상황에 놓여 있어서 시사하는바 크다고 본다.

□ 이미 일부 야생생물들은 사스 창궐 시에 전파예방 및 차단을 위해 수입 금지된 사례가 있고, 경제난으로 버려진 개와 고양이가 증가하고 있어 대책이 필요한데, 지금까지 살펴본 일본 사례의 제안을 참조하여 대책을 세운다면 야생동식물의 심미적, 교육적 가치를 유지하면서, 우리 생태계 최소한도의 유지는 가능할 것으로 본다.
저자
Hisako Kiyon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3
권(호)
33(2)
잡지명
환경과 공해(A406)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2~28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