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성비 연구에서 건성침강량평가의 중요성(Importance of dry deposition amount evaluation on acid deposition research)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도 산성비문제는 국내의 발전설비와 운송수단이 상당한 원인을 제공하고 있고 더구나 이웃 중국에서 주된 연료로 사용하는 석탄으로 인해 우기나 건기를 가릴 것 없이(그러나 실제로 겨울철의 영향이 더 심할 것으로 보임) 산성비에 의한 생태계와 인간보건에 까지도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는 상황은 이미 알고 있다(금년의 도심에 있는 나뭇잎이 일기가 좋았음 에도 불구하고 기대한 것보다 곱지 못하고 갈색화가 심한 것이 산성비의 원인으로 추정된다).
□ 습성침강으로 인한 산도는 강우 시에 샘플을 취해 측정함으로써 거의 지역적인 대차 없이 측정이 가능하고 그 측정치도 정확성이 보장된다고 할 수 있으나 건성산성물질은 그 자체가 이동이 쉽고 지형지물이나 생태계 및 식생의 영향을 수시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샘플링도 쉽지 않아 지역대표성을 갖는 측정결과를 얻기가 극히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 미국의 예를 보더라도 거의 30~50%에 가까운 건성침강에 의한 것이 총 산도에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신뢰성 있는 자료를 얻지 못하면 산성비에 대한 상황파악도 어렵고 따라서 삭감을 위한 대책수립도 한계에 이른다고 할 것이므로 건성 침강량에 대한 과학적이고 정밀한 측정방법이 강구되는 것이 화급하다.
□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은 산성비를 연구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무엇보다도 대기오염물질로 존재하는 건성 침강량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과제이고 또한 중요한 일인지를 몇 개국의 예를 들어서 설명한 것으로 우리에게도 이 분야의 대기환경을 연구하는 연구원들에게 공감이 갈 것으로 판단하고 앞으로 이 분야를 연구하는 연구원들에게 참고가 되었으면 좋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 저자
- Kentaro Muran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32(11)
- 잡지명
- 환경기술(G25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883~889
- 분석자
- 한*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