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니 바이오매스로부터의 에너지ㆍ자원 생산형 처리시스템(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energy-resource production from sludge biomass)
- 전문가 제언
-
□ 볏짚, 왕겨, 밀집과 같은 농산바이오매스, 목재, 폐재, 장작, 목탄과 같은 목질바이오매스, 가축의 분뇨와 같은 축산바이오매스, 도시 쓰레기나 하수오니와 같은 생활쓰레기바이오매스 등, 바이오매스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자원으로서 그 종류와 이용방법이 다양하다.
□ 이 가운데 도시의 하수종말처리장에서 발생한 하수오니에는 유기물과 영양염류가 상당히 포함되어 있는 바, 일본에서는 이를 호기성 및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발효에 의하여 바이오가스(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60%의 메탄과 40%의 이산화탄소로 구성됨)를 생산하여, 이 바이오가스로 열병합발전을 실시하는 기술이 이미 개발되어 있다.
□ 본문에서 소개한 하수오니 바이오매스로부터의 에너지ㆍ자원 생산형 처리시스템은 수열처리기법을 도입하여, 하수오니를 가용화하고, 여기에서 인과 암모니아도 회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이오가스 속의 메탄 비율도 높일 수가 있으며, 내부순환형의 고속혐기처리장치로서 바이오가스 생산효율을 크게 높이는 기술로 판단된다.
□ 인은 화학비료에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요소이며, 우리나라도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하수오니에서 회수할 수 있는 인의 양이 화학비료의 생산에 도움이 될 만큼 많을 것인지는 아직 알 수 없으나, 적어도 강이나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양을 그만큼 줄일 수 있어, 매년 적조로 피해를 받고 있는 사람들의 고통은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이시카와지마하리마중공업(주)이 일본에서 실시하는 현지시험에서의 결과를 예의 주시하면서, 만일 이 시스템을 우리나라에 도입한다면 중소도시의 소규모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시범적으로 먼저 실시하고, 대도시로 그 규모를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저자
- Makoto KITANO; Kenji SAT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32(11)
- 잡지명
- 환경기술(G25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852~856
- 분석자
- 이*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