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필터팩법에 의한 대기 중의 건성침적물질 농도(Concentrations of dry deposition substances in the air using filter pack method)

전문가 제언
□ 산성비에 대한 연구를 착수한 당시에는 문자 그대로 대기오염물질을 포함하는 비나 눈에 의한 습성침적이 연구대상이었으나, 최근에 이르러 비강수기의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건성침적도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고, 그 측정방법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 현재 건성침적물 측정에 사용되는 대기측정은 자동측정기에 의한 방법, 필터팩법, 확산 디누더(Denuder)법, 피동적 시료채취법 등이 개발되어 있으며, 건성침적물 가운데 자동측정으로는 SO2, NO 및 NO2, 오존만 측정할 뿐, 이외의 다른 건성침적물, 즉 HCl, HNO3, NH3과 같은 가스상 물질이나, 입자상물질인 SO42-, NO3-, Cl-, Na+, NH4+, K+, Ca2+, Mg2+ 등은 측정을 하지 못하고 있다.

□ 이 연구에서는 필터팩법을 이용하여, 일본의 9개 지역(도시주거지역 5곳, 도시상업지역 1곳, 준도시공업지역 1곳, 배후지역 2곳)을 선정하여, 가스상 및 입자상 물질을 측정하고, 지역별, 월별의 건성침적물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 이와 같은 대기오염물질은 국경을 넘어 장거리를 이동하며, 자칫하면 국가간의 분쟁을 일으킬 소지가 있으므로, 인근국가와의 협력강화에 의하여 대기오염문제를 해결해야 하며, 우리나라도 현재 한ㆍ중ㆍ일 장거리이동 대기오염 공동연구와 동아시아 산성비모니터링 네트워크를 통한 합동조사로 주변국들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저자
Masaru KITASE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3
권(호)
32(11)
잡지명
환경기술(G250)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895~900
분석자
이*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