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심송풍기의 저소음화 현황(Trend of Noise reduction in Centrifugal Fan)
- 전문가 제언
-
□ 원심송풍기의 소음저감에 회전소음의 저감을 먼저 저감할 필요가 있다. 대형 송풍기의 소음은 소음공해를 일으키고 소형 송풍기의 소음은 청각 장애로 주거환경을 악화시키는 요인이며 송풍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공기역학적인 것, 기계적인 것, 전자적인 것 등이 고려되어야 하지만 통상 운전상태에서 공기역학적인 소음이 지배적이다.
□ 원심송풍기에서 발생되는 공기력소음은 회전소음과 난류소음으로 구분되고 회전소음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포텐셜 소음과 후류에서 발생되는 간섭소음으로 분류된다. 포텐셜 소음은 임펠러 단체로 발생하고 간섭소음은 흐름과 간섭되어 소음을 만든다. 소음 레벨의 값을 낮추는 것보다 청각 장애가 되지 않는 음질로 만드는 것이 우선이다.
□ 송풍기의 형식은 터보형과 용적형으로 나누어진다. 일반적으로 터보형은 송풍압은 작지만 유량은 큰 경우에 적당하며 용적형은 송풍압이 크고 유량이 작은 경우에 이용된다. 터보팬은 후류방향으로 고압력을 얻을 수 있고 효율이 높아 산업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터보팬의 출구각도를 증가시켜 출구상대속도를 낮추고 보다 높은 압력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터보팬은 최대압력과 최대 풍량이 향상된다.
□ 저소음 설계시의 기본적인 방법으로 흐름으로 인한 물체의 간섭을 줄이고 에너지를 분산시키며 교란과 박리를 작게 하는 구조로 하는 것과 흡입노즐 선단의 접선과 임펠러 측판과의 각도차가 회전소음에 영향이 커서 각도차를 극히 작게 하는 것이 정음화의 방법이다. 향후에는 배관계통의 전달반사음에 대해서 능동제어소음으로 음원자체를 액티브 제어하는 것과 흐름의 수치계산에서 유체소음의 CAE가 체계화되게 하여야 한다.
- 저자
- Gaku Minorikaw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27(5)
- 잡지명
- 소음제어(N31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24~330
- 분석자
- 임*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