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의 저소음화(Challenge for reducing the road Traffic Noise)
- 전문가 제언
-
□ 도로교통소음은, 발생→전반(伝搬)→수음(受音)의 3단계를 거쳐 사람에 전달되는데, 그 저감대책으로서, 자동차 단체규제나 속도규제, 저소음포장이나 차음벽 등, 도로에 있어서의 대책, 건물의 방음화나 연도 토지이용전환 등, 각 단계에 있어서, 여러 가지 광범위한 대책이 실시되고 있다. 또한, 전체로서 소음저감효과가 보다 실리 있도록, 이 들 대책을 유기적인 연대하에 실시하고 있다.
□ 이 연구에서 저소음포장 기술로서, 배수성(排水性)포장(1층식), 2층식배수성 포장, 다공질 탄성(彈性)포장의 연구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차음벽에 관하여는, “음으로 음을 소거(消去)한다”라는 새로운 발상인 선단(先端)의 형상을 개량한 차음벽의 일종으로서, 직상을 통과하는 음의 음압이나 주파수, 파장 등을 컴퓨터로 계산하고, 그 역위상(逆位相)의 음을 발생시켜 음을 연질화(상쇄) (=음압을 0로 만듬:soft)시키는,A SE(active soft edge, 능동연질화(상쇄)단부) 차음벽의 연구를 실시하여 같은 높이의 차음벽 보다도 약 5dB의 소음을 저감시켰다.
□ 그리고 비교 연구한 배수성 포장(1층식), 2층식 배수성 포장, 및 다공질 탄성포장에서 각각 2~5, 4~7, 약 10 dB의 소음저감을 실현하였다.
□ 지금 국내에서는 연질 아스팔트 포장과 경질 콘크리트 포장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소음 민감지역에 대해서는 이번 연구와 같은 소음저감을 주목적으로 하는 새로운 포장방법도 시도 해 볼만하겠다.
- 저자
- Yoshiharu Namikaw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27(6)
- 잡지명
- 소음제어(N31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12~417
- 분석자
- 김*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