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VAC의 시스템 동적 시뮬레이션(The States of System Dynamic Simulation of HVAC)
- 전문가 제언
-
□ 본고는 공조시스템의 설계 혹은 운용단계에서 성능해석의 툴 또는 성능검증 과정의 툴인 미국 NIST의 동적 시뮬레이션「HVACSIM+」을 일본 Nagoya 대학에서 입수하고 일본 공조학회 시뮬레이션 위원회에서 모듈 추가와 디버깅하여「HVACSIM+(J)」로 현재 이용하고 있다. 본 동적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구성, 개요 및 현황에 대해 아래와 같이 보고하고 있다. 공조제어의 적정화나 시스템의 거동을 모의할 수 있는 동적 시스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그 역할 및 개발경위에 대한 기술과 시뮬레이션의 재현성 확인을 목적으로 몇 개의 실제건물의 시스템을 상세하게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들고 있으며 입력을 지원하는 MMI(Man Machine Interface)의 개발과 기기 파리미터의 데이터베이스를 여하히 정비하고 이용할 것인가를 향후의 과제로 기술하고 있다.
□ 선진국과 관계되는 공조 프로그램의 출력 결과물을 제시해야하는 경우 신뢰성의 이유로 유명 소프트웨어 회사 제품을 사용하도록 요구 받는다. 비록 출력의 정확도가 높아도 그러한 경우가 많다. 특히 공학 분야에서 관련하여 그런 일이 허다하다. 소프트웨어의 비용이 하드웨어 비용의 4배 이상 된다고 했을 때 투자가치가 있고 시장성도 매우 크다. 국내의 소프트웨어 제품이 수출되고 있는 경우도 있지마는 막대한 시간과 자금을 필요로 하는 공학 관련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전문 회사의 육성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자원이 없는 우리나라 실정으로는 기초과학의 적극적인 인재육성만이 유일한 길이라고 사료된다.
□ 단발성 프로젝트에서의 생길 수 있는 중요한 프로그램이 개발된 후 시간이 지나면 사장되는 경우가 허다하고 나중에는 그 이용조차 하기 힘든 경우가 있는데 그런 프로그램을 가전제품의 재활용처럼 분야별로 컴포넌트화와 계층 구조화하여 알고리즘을 개량하면 재이용이 가능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저자
- Hideharu Niw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77(11)
- 잡지명
- 공기조화위생공학(L10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009~1017
- 분석자
- 문*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