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해외의 건물에너지해석 시뮬레이션과 소프트웨어 현황(Simulation and Tools in Abroad)

전문가 제언
□ 건물의 냉난방, 환기, 조명, 기기사용 등에 필요한 에너지를 건물부하라고 한다. 이 중에서 냉난방부하의 계산은 변수가 너무 많아 정확한 계산이 지극히 어렵다. 즉 건물 주변의 기온, 습도, 풍속, 풍향, 일사량, 구름의 양, 식재조건 등 미기후(micro-climate)가 시시각각 변하고 실온, 습도, 재실자의 재실습관, 기기의 운전조건, 조명조건, 건물의 사용패턴 등이 고정되지 않고 변하므로 정확한 부하를 계산하는 것은 앞으로도 어려울지 모른다.

□ 냉난방부하 등 건물에너지를 해석하는 이유는 건물에 적절한 공조장치를 계획하고 연간소요 냉난방 에너지비용을 산정하기 위한 목적과 건물의 규모 즉 부하에 알맞은 보일러, 냉동기 등 공조설비의 용량을 산정하기 위한 목적이 있으며 부하해석방법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부하계산서에 기입해가는 수계산방식
○ 축열계산법
○ 온도계급별 출현빈도에 의한 계산법
○ 냉난방도일법
○ 확장 냉난방도일법
○ 전부하 상당시간 계산법
○ 동적부하계산법

□ 우리나라는 1980년대 초 미국의 DOE-2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처음 건물에너지해석을 시도하였으며 캐나다, 일본, 프랑스 등의 프로그램이 소개되어 우리나라의 기상자료와 건물데이터, 건물사용 패턴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되기도 했다. 1990년대 초 독자 프로그램인 KIERB-1이 소개되기도 했으나 간이해석프로그램이기 때문에 효용성이 낮았다. 여건이 성숙된 지금 연구자, 설비설계자, 학생들을 위한 우리나라만의 독창적인 에너지해석 프로그램을 기대한다.
저자
Yasuo Utsum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3
권(호)
77(11)
잡지명
공기조화위생공학(L104)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019~1024
분석자
유*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