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D에 의한 기류시뮬레이션의 현황(recent Approaches on the Airflow Simulation Technique)
- 전문가 제언
-
□ 최근에 이르러 컴퓨터의 연산능력과 기억용량의 급격한 발전과 그 이용기술의 발달에 의하여, 자연의 물리현상을 그대로 모사할 수 있는 기법이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전산유체동력학(CFD)은 그 대표적인 에이다.
□ 이는 단상(Single Phase)의 유체면 어떤 기하학적인 형상의 것도 취급이 가능하며, 자동차 및 비행기, 선박의 엔진, 헬리콥터의 로터, 로켓의 설계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되는 도구이며, 최근에 이르러서는 자동차 에어컨설계에도 활용되고 있고, 대기환경평가에도 이의 적용이 검토되고 있다.
□ 현대의 산업구조가 복잡해지고, 인간이 좀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원함에 따라, 공장의 환기 및 통풍계통, 실내운동장(특히 돔식 야구장) 같은 대규모 건축물에서의 환기는 아주 중요하며, 이는 기존의 경험식이나 간단한 도구로는 실내외를 함께 종합적으로 취급할 수 없기 때문에, CFD에 의한 기류시뮬레이션의 적용이 타당하다.
□ CFD는 공간적이나 시간적으로 입력을 마련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는 데 많은 경험과 지식을 필요로 하며, 전문가적인 식견이 필요하다. 따라서 CFD의 적용이 구태여 필요하지 않은 현상에 대해서 이를 적용할 필요가 없지만, 적어도 복잡한 구조나 현상을 지닌 시스템의 설계에는 반드시 필요한 도구이며, 평소의 기술개발을 통하여 이의 사용에 익숙해 있어야 한다.
- 저자
- Yoshihide SUW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77(11)
- 잡지명
- 공기조화위생공학(L10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001~1007
- 분석자
- 이*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