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쓰레기 최종처분장의 현상과 앞으로의 전먕
- 전문가 제언
-
□ 도시의 생활쓰레기 최종처분장이 안고 있는 많은 문제점은 세계의 대부분의 나라가 자유로울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 문헌은 일본의 현황과 향후의 개선대책을 중심으로, Huku Oka대학의 Higudgi교수가 분석한 내용이다. 일본의 경우는 협소한 국토면적에 높은 인구밀도, 그리고 지리적으로 다 강수량의 온대지역특성으로, 우리나라와 거의 같은 상황이어서 생활쓰레기 최종처분장에 관하여 다각적으로 검토 분석한 이 문헌의 내용이 좋은 참고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쓰레기최종처분장의 대표적인 문제점은, 지하수오염과 주변 환경오염으로 최종처분장 전체의 신뢰성과 안정성이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이로 인하여, 새로운 처분장의 용지를 확보 하는데 있어 지역의 거부방응이 격심하다는 점이다. 더욱이 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한 순환형 사회를 형성해가기 위한 자원화의 관점에서, 최종처분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는 점이다.
□ 따라서 우선 기존처분장의 안정성확보를 위해서는 관련기술의 개발과 수명연장을 위한 renewal기술, 그리고 폐기물의 순환형 재활용을 위한 매립기술의 개발이 시급하며, 아울러 지방자치단체가 수용할 수 있는 신규 최종처리장의 안정성을 위 하여는, 쓰레기의 발생, 배출, 자원화, 중간처리 및 최종처분까지의 종합적인 대책이 담겨진, 우량한 최종처리장건설에 초점을 맞추어야하는 것이다. 이 문헌은 바로 이러한 문제들을 상세히 분석하고 있다고 사료되어, 그 내용을 소개하는 바이다.
- 저자
- Higuc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29(6)
- 잡지명
- 월간폐기물(L24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9
- 분석자
- 차*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