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품잔사의 사료화의 핵심기술 : 어느 처리업자의 연구개발 사례

전문가 제언
□ 음식물류 폐기물의 처리문제는 부패의 용이성·악취·오수의 발생 등으로 자원화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사료 화에는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보냉시설이 필요하고 이물질혼입을 차단하기 위한 철저한 분리수거와 선별작업이 필요하다.

□ 위의 보고 된 내용으로 본다면 식품잔사의 사료 화를 위하여 현장시험을 시행하여 양돈의 위생적인 관리와 식육의 품질향상을 조사한 것이다. 특히 식품잔사의 원료구분에 의하여 사료의 성분을 엄격히 조절하고 있는데, 이것은 사료제조공정과 사회시스템의 정보관리로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 우리나라의 경우 음식물류 폐기물의 감량정책의 지속적인 추진으로 줄어 들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음식물류 폐기물의 하루 발생량은 11.3천 톤(2002년 기준)으로 생활폐기물 중 차지하는 비율은 여전히 23%로 포장재 폐기물과 함께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음식물류 처리현황(2001년말 기준)은 재활용률이 56.8%로 가장 높고, 매립과 소각에 의한 처리비율은 각각34.3%와 8.9%이다. 이것은 생활환경의 위생의 개선을 위하여 시급한 해결과제가 되고 있다. 정부는 2005년부터 도시지역에서 발생되는 음식물류 폐기물은 매립장에 직 매립을 금지하도록 법으로 규정하여 현재의 상황으로는 음식물 쓰레기 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저자
Hori Yoshim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3
권(호)
29(11)
잡지명
월간폐기물(L244)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6~22
분석자
신*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