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드 공법 : 실드 단면의 형상
- 전문가 제언
-
□ 대도시의 지하철공사도 심도가 깊어져서 점차 대심도화 하는 가운데, 단면의 형상을 효과적으로 하는 것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 즉, 사용목적에 따라 단면형상을 최소화함으로서 공사비 절감과 공기단축을 기할 수 있어서 다양한 단면형상이 설계 분석되고 있다.
□ 따라서 초기의 원형에서 실드기 단면의 다양한 개발로 사각형, 타원형, 발굽형의 개발되는 등, 특수 단면형상에도 적용하게 되었다.
□ 이러한 단면에 맞추어, 이형단면 실드기도 개발되어 원형 커터 위에 보조 스윙 커터가 회전하면서 자유로운 궤적을 그릴 수 있게 됨으로서 지중 내에서 공동하수구 등 복잡한 형상의 굴진도 가능하게 되고 있다.
□ 또한, 굴착단면을 자유롭게 확대, 축소 가능한 튜브공법도 개발되어 대 심도에서 전력이나 가스터널 그리고 도로터널에 적용가능하게 되었다.
□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일본에서는 다양한 원형 단면과 이에 맞는 실드기가 개발 접합되어 굴착단면의 향상을 가져오고 있는데, 기술개발의 속도와 폭에서 놀랄만하다고 본다.
□ 아직 우리나라는 대심도 개발이 많지 않으나, 대도시의 교통이나 우수대책 측면에서 대 심도 터널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기술개발과 연구에 대비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저자
- Tsutomu Otsuka ; Toru Moriyam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58(12)
- 잡지명
- Civil engineering(A10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4~59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