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로봇화 시공의 현황과 전망

전문가 제언
□ 복잡하고 어려운 작업이 많으며 인력의존도가 높은 건설산업은 재래식 공법이 아직도 지배적인 산업이다. 젊은이들이 기피하는 3D 업종의 대표적인 산업분야로 꼽히고 있으며 종사하는 인력의 고령화로 기능공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인력의존 공종이 많다보니 건설단가가 계속 상승하고 있어 공사의 채산성 및 경제성이 날로 떨어지고 있다.

□ 건설공사의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공기단축이 필요하고 인력에 의존하는 공종을 기계화, 자동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좁은 국토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하공사, 지중공사, 산악공사, 해양공사가 불가피한데 이런 지난하고 복잡한 공사에는 인력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공법이 필요하며, 최근 강조되고 있는 안전제일의 환경친화적 공법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공법이 바로 로봇시공기술이며, 우리나라도 도입을 위한 노력과 공감대는 이미 충분히 형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 건설산업의 로봇시공화 기술이 상당한 수준에 이른 일본은 1993년 수억 톤에 달하는 화산분출물의 무인화 제거공사를 시발로 심초, 연속지중벽 등 깊은 기초공사에 원격조작 로봇시공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도시 지중과 산악의 실드 터널공사의 로봇화 시공수준은 세계적인 수준에 있다. 또한 해양공사의 준설작업에도 자동준설로봇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 일본이 2003년부터 국토교통부 주도하에 로봇을 이용한 시공시스템 개발에 적극성을 보이는데 반해 우리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우리나라도 건설현장의 경제성확보, 기능인력난 해소, 안전사고율 저감, 환경친화적 시공을 위해 로봇시공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및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다.
저자
Tadashi Kanzak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59(1)
잡지명
Civil engineering(A108)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9~55
분석자
유*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