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처리 유료화목적과 요금설계 :(Special Issue) Charging System for Municipal Solid Waste Management (2) : Aim of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Scheme for MSW Management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는 1994년에 세계에서 처음으로 전국적인 쓰레기종량제를 도입함으로서 폐기물관리정책에 커다란 전환점이 된 획기적인 방안이었는데, 실시 전 일인당 하루 쓰레기배출량이 1.33㎏에서 2000년도엔 0.98㎏으로 감소되었다.
□ 처음엔 주택 크기나 재산세 과표를 기준으로 했으나, 이후 규격봉투 구입으로 버린 쓰레기양만큼 비용부담으로 변경되었는데, 처음 기준은 고정요금 형식으로서 쓰레기배출량 감소 요인이 없었던 것이다.
□ 현재 종량제는 배출량 비례 형으로서 쓰레기봉투비용은 비용부담 저항이 없는 수준이며, 저소득층엔 일인당 월 60ℓ 기준으로 종량제봉투를 무상지원 해주고 있어서 Civil Minimum의 배려도 해주고 있다.
□ 그러나, 폐기물처리사업은 아직도 정부의 지원이 절대적이어서 쓰레기봉투 매각대금만으로는 자립유지가 어려운 상태여서 요금인상의 압력이 많은 것이 국내외의 현상이다.
□ 일본도 우리보다 앞서 요금제를 도입하면서 많은 요금설계 방법을 보여주고 있는데, 독립 채산제 방향으로 가기 위해 2부 요금제 제안은 매우 관심을 가질만하다고 본다.
□ 최근 국내 연구결과에 의하면, 종량제 봉투가격의 1% 상승이 불법투기 건수를 약 0.5% 상승시킬 수 있다는 분석도 있어서, 이는 종량제 가격인상이 배출량의 추가 감소와 재활용 증가 효과보다 불법투기 요인을 더 제공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우리 정부에서도 요금체계를 개선하여 처리비용 가운데 순수 주민부담 부분으로 쓰레기 봉투가격을 산정하고 대형폐기물은 처리비용을 전액 배출자가 부담하도록 해서, 불만과 불법투기 요인을 더 감소시키려 하고 있다.
□ 우리와 같은 쓰레기종량제는 최근 대만에서도 벤치마킹하여 실시 중인데, 종량제의 무리한 가격 인상보다 재활용품 보상정책 등이 더 효과적으로 보이므로, 국내외의 여러 사례들을 참조하면서 관계 전문가의 계속적인 심층연구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 저자
- Naohisa Wad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57(257)
- 잡지명
- 도시청소(B40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3~18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