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해화학물질로 오염된 토양의 복원기술(remediation technologies for contaminated soil due to hazardous chemicals)

전문가 제언
□ 산업계에서 자주 사용하고 있는 수 많은 유기화학물질은 비의도적이지만 부주의한 취급이나 시설의 미비 및 사고발생 등에 의해 지상으로 유출되어 경로를 통해 토양에 이르러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원인을 만들고 있었으나 일반적으로 지하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은 산업계에서도 그다지 중대한 환경문제로 고려하고 있지 않았음도 우리나라의 환경정책의 치명적인 잘못이라고 해도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고 본다.

□ 특히 정유와 석유화학기업이 집중되어 있는 울산이나 여천의 산업공단과 그 주변은 지하의 토양에 엄청난 량의 유기화학물질이 토양에 대한 유기물질의 분배특성에 따라 존재할 것이며 상당량이 지하수를 통해 넓은 범위까지 유출되고 확산된 상태로 있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배가스에 의한 대기오염보다 결코 가볍게 볼 수 없는 위험환경상황이라고 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점진적이고 효율적인 정화처리대책의 수립이 시급한 실정이다.

□ 특정산업단지도 토양이 갖고 있는 본래의 귀중한 가치를 인정하고 적어도 공장주변의 토양환경에 유해한 영향은 주지 않도록 하기위해서는 토지를 기업의 사유물이 아닌 공공의 자산이라는 개념으로 볼 필요가 있고 이렇게 생각함으로써 토지소유자나 오염원인기업이 정화에 대한 책무를 다 할 것으로 생각하며 이에 대한 환경당국의 명확한 역할이 있을 것을 촉구한다.

□ 본 논문은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토양환경에의 침입경로나 확산과정과 지하수오염의 원인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과 오염된 토양의 정화기술에 대한 일본의 현황을 앙케이트조사에 의해 종합한 것으로 향후 우리나라에서도 오염토양문제가 사회적인 잇슈로 대두될 것에 대비하여 이 방면의 연구자들에게 참고가 되었으면 좋을 것입니다.
저자
Tatemasa Hirat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3
권(호)
41(4)
잡지명
공기청정(N293)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58~265
분석자
한*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