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매스로부터 수소를 만든다

전문가 제언
□ 바이오에너지는 사용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식물이 성장할 때 흡수하므로 , 대기 중 농도가 증가하지 않는 CO2 -neutral 에너지이다.

□ 최근, 용해가스화는, 에너지회수 효율향상, 타르의 분해촉진, 저발열량 재료의 예비처리 등 안정운전 대응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부분산화 가스화법은, 고효율 메탄올 변환기술, 소규모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가스화 등이 추진되고 있으며, 저온유동층 가스화법은 사전처리는 용이하나, 안정연속운전을 저해하는 타르의 흡착·분해가 큰 과제이다.

□ 고온·고압의 초임계수중에서의 신속한 가수분해반응을 이용하는 초임계수 가스화는, 바이오매스에 대한 수량(水量) 적정화, 고성능 염가 촉매 개발 등에 의해 에너지 효율의 개선, 코스트의 저감을 시도하고 있다. 이외에도, 초임계수에 있어서의 산화루테늄(IV)의 촉매반응-유기물의 분해와 기체발생 기구(Shinshu대학), 초임계수 다단계 산화법에 의한 PVC 등 난연성 유기물의 분해(Shinshu대학, 일본 중부전력), 소형 임계수 분해장치에 의한 유기용매 처리기술의 개발(Toshiba, JNC) 등이 진행 중이다.

□ 한편, 일본 AIST는 부분연소화 공정에서의 C의 CO 전환반응과 CO의 CO2 전환반응을 한 개의 반응기로 하며, CO2흡수제(CaO) 도입에 의한 화학 평형 이동으로 H2수율을 향상시키는 HyPr-RING(Hydrogen Production by Reaction Integrated Novel Classification Process) 개념을 도출했다. 이 시스템은 전체반응이 한 개의 반응기에서 일어나며, CO2가 원천적으로 분리되며 비교적 저온반응으로 공정이 간단하다.

□ 향후, 주요 핵심공정기술 개발은 물론, 고압․고온 공정의 특수성으로 인한 장치의 안정성, 부식 등에 대응하는 장치재료·설계, 운전·제어 기술과 함께, 원료인 바이오매스의 안정적인 확보, 수요 창출 및 가격 경쟁성 확보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저자
TOMIYASU Hirosh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3
권(호)
40(11)
잡지명
고압가스(A169)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952~956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