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용 연료 전지
- 전문가 제언
-
□ 자동차 중심의 수송용 연료전지 개발은 Toyota, GM, Ford 등 세계 유수의 자동차사와 Shell, BP 등의 에너지 기업들, Osaka Gas, Tokyo Gas 등의 일본의 가스 기업, Dow 등 화학 기업들까지 가세하고 있다.
□ 연료전지 개발 등과 관련하여, 2003년 11월, 미국 DOE(Department of Energy, 에너지부) 주도로 EU, 일본, 한국을 비롯한 세계 15개국의 관련 정부 기관들이 향후 수소경제로의 전환 협력을 위해 IPHE (International Partnership for Hydrogen Economy)를 결성했다. 미국, 일본, EU는 연료전지 자동차와 관련한 수소의 품질 및 안전기준 통일, 관련기술 개발 등의 협력을 구체화하고 있다. 2004년 1월 미국 DOE와 일본 METI(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경제산업성)이 연료전지 관련 개발 협력 계획을 발표했으며, 일본은 EU와도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 한국은 2003년 수소/연료전지를 차세대 성장 동력산업으로 선정하고, 2011년 세계 3위 기술 보유국 진입 및 시장점유율 20% 달성을 목표로, 앞으로 10년간 연료전지 자동차 개발에 3,000억원 가까운 투자가 진행될 예정이다.
□ 2004년 4월, 현대자동차는 Chevron, Texaco 등과 제휴에 의한, 미국 DOE의 「연료전지 자동차 시범 운행과 수소 충전소 인프라 구축」 사업 참여를 발표했다. LG그룹은 2008년까지 화학부문 R&D에 총 2조 7000억원을 투입해 2차전지 등 승부사업 부문에서의 세계 1위 목표로, R&D투자 비율을 현재 2.5% 수준에서 2008년까지 5%로 확대하고, FCHV용 중대형 전지, 연료전지 등에도 주력하기로 했다.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은 금·백금에 함유된 수십㎚ 수준의 미량 불순물원소를 분석할 수 있는 4가지 신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 ISO에 신규 국제규격을 제안함으로써, 그간 미국·일본·호주가 주도해온 귀금속 평가기술의 국제표준화 부분에서 향후 우리나라가 선도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고 2004년 10월 28일 발표했다.
□ 연료전지 기술 수준은 선진국의 30% 정도로 상당히 뒤진 것이 현실이다. 향후, 고성능 전해질 막 개발 등의 기본성능 향상과 전후방 기업 및 국가간 유대 강화 등의 경제성 향상에 주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Sugiyama Masahik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3
- 권(호)
- (392)
- 잡지명
- 현대화학(A41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7~31
- 분석자
- 조*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