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정배출원으로부터의 이산화탄소 회수 및 그 저장(2): 대수층에의 이산화탄소 격리처분기술의 개발(Experimental CO2 Geological Sequestration into Aquifer)

전문가 제언
□ 미국은 조지 부시 행정부가 들어선 이래, 1997년 12월 교토에서 개최된 COP3에서 합의한 교토의정서의 비준을 거부함으로써 국제사회의 비난이 높아지자, 화력발전소나 시멘트공장과 같은 이산화탄소의 대형 고정 배출원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ㆍ회수하고, 이를 심지층에 주입하여 격리 처분하는 기술의 개발을 제창하였다.

□ 이에 따라 CSLF가 창설되어, 현재는 미국, 영국, 러시아, 일본, 중국, 인도 등 대량으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나라들이 여기에 참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아직 여기에 가입하고 있지 않다. 미국은 특히 에너지부의 지원으로, 일본은 경제산업성의 지원에 의하여 이 분야의 연구 활동이 매우 왕성하다.

□ 2004년 10월에는 러시아의회가 교토의정서에의 가입을 승인하고 있고, Vladimir Putin 대통령의 서명과 UN 사무총장에의 전달만 남아 있어, 교토의정서는 늦어도 2005년 상반기에는 발효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최상위 그룹에 속해 있어, 교토의정서에 규정된 2012년 이후에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감축하라는 국제적인 압력에 시달릴 것으로 예상된다.

□ 우리나라는 원자력발전을 제외하고는 아직 석유대체에너지(특히 재생가능하고 청정한 에너지)에 대한 기술개발이 미진하다. 다행히 이 기술이 우리나라의 높은 토목기술을 활용할 수 있어서 장기간이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육상지역과 근해에서의 대수층분포를 먼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이와는 별도로 강원도 폐광지역에 이산화탄소 주입에 의한 메탄가스의 생산에 대하여 현장에서의 타당성조사연구를 정부 주도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저자
Shigeo MURAI; Yasunobu MIZUN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3
권(호)
26(12)
잡지명
Petrotech(N331)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037~1041
분석자
이*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