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착에 관한 분석 평가 기술 : (1) 표면 분석
- 전문가 제언
-
□ 최근 십수 년 내에 고분자에 관한 분석수단은 매우 발전을 하였다. 하지만 한두 가지 간과하지 말아야 하는 것은 목적과 재료에 맞는 기기, 수법 등 선정의 중요성을 충실히 지켜야 하는 것과 분석의 수순으로 간단히 눈으로 관찰→광학현미경→주사전자현미경 등 마크로(macro)에서 마이크로(micro)한 분석 수순을 밟아야 한다.
□ 아무리 좋은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우선 목적에 부합되지 못하는 기기의 선정이나 역으로 기기에 맞지 않는 재료는 측정이 불가하고, 특히 표면분석을 진행하는 경우는 시료의 전처리가 매우 중요하므로 사전에 전처리에 대한 많은 연구가 정확한 분석, 해석을 할 수 있는 지름길이다. 전처리가 제대로 안된 경우는 상당히 많은 경우 해석의 오류를 일으킨다.
□ 앞에서 소개한 많은 기기들은 상당히 고가이고 또한 전문적인 오퍼레이터(operator)가 요구된다. 이러한 전문성이 없으면, 분석의 깊이를 더욱 발전시킬 수도 없고, 정밀한 기기의 정비도 문제가 된다. 따라서 외국의 경우는 분석만을 전문으로 하는 분석기관이 있어 많은 기기에 투자를 할 수 없는 중견 기업들이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나 우리나라는 현재 그러한 시스템이 부족한 감이 있다. 국공립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상기와 같은 독립 분석연구기관의 설립을 기대하여 본다.
- 저자
- Yamaguc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3
- 권(호)
- 23(2)
- 잡지명
- 접착의 기술(C27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5
- 분석자
- 임*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