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 접착성 펩티드와 Tissue engineering
- 전문가 제언
-
□ Tissue Engineering은 조직 공학으로서 의학, 공학, 약학분야에서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재생 의공학의 목적은 손상, 생체조직과 장기치료를 위한 세포를 이용하여 재생 혹은 재구축하는 기술을 확립하는 것에 있다. EC는 조직의 충전재료로서 물리적 구조를 유지하는 것이고 세포의 접착, 이동, 분화, 증식 등 세포 활성을 세포의 외측에서 제어하는 인자로써 중요하게 되었다.
□ 세포접착성 단백질의 세포접착에 관한 활성부위의 아미노산 배열은 화학합성한 것으로 세포접착성의 합성화학, 구조해석, 접착구조의 해명하기 위해 재료에 쓰는 조직공학, 생 의학용재료 개발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생각된다.
□ 피부로네쿠친은 분자량이 약230kD의 단백질, 2개의 폴리펩티드 사슬이 C말단부분에 존재, Cys잔기의 측사슬로 S-S결합을 형성한 2양체의 단백질이다. 피부로네쿠친의 2개 펩티드사슬은 세포, 헤파린, 후브린, 콜라겐 등 각각의 접착부위를 가지고 있으며 향후에 피부로네쿠친의 역할이 크게 기대된다.
□ 펩티드(peptide)의 합성은 고상합성법과 액상합성법의 2종류가 있다. 고상합성법은 아미노산에 순차 아미노산을 도입해서 펩티드를 형성해 최후에 고분자의 담체를 푸는 방법으로 부반응물이 많고 정제가 대단히 어렵고 대량으로 합성물을 얻을 수 없다. 이에 반해 액상합성법은 시간, 경험이 필요한 방법이지만 자유자재로 디자인한 펩티드를 대량으로 얻을 수 있고 각 스텝별 정제를 행하므로 불순물이 적다. 따라서 펩티드의 합성은 액상합성법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 펩티드(peptide)의 액상합성에 의해 끝의 유전자 조직변환 단백질보다 저분자로 또한 용이하게 화학 합성할 수 있는 배열을 설계하여 유전자 조직변환 단백질로 동등한 세포활성을 소유하고 있는 것이다. 아르긴산이나 콜라겐 등의 천연고분자합성 고분자하이드로겔상에 수식해 각 목적에 맞게 인공EC나 생의학용 재료가 다수의 연구자에 의해 연구되고 있다.
- 저자
- Hirano ; Iuc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3
- 권(호)
- 47(12)
- 잡지명
- 접착(A04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43~550
- 분석자
- 임*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