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금속염 함유 산무수물 경화 에폭시 수지의 표면 금속화

전문가 제언
□ 고분자 재료의 표면을 금속화하면 내마모성, 내열성, 내약품성, 가스 차단성(Gas Blocking), 전도성 등의 물성이 향상되어 금속 제품의 대체품으로 용도가 다양해지기 때문에 고분자 표면을 금속화하는 기술이 여러 가지 형태로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 지금까지의 고분자 표면을 금속화하는 주요 방법은 플라스틱 표면을 도금, 진공증착, 금속분말용사(金屬粉未溶射), 메탈 도장(Metal Coating) 및 금속박(Metal Foil)으로 접착시키는 방법이었다.

□ 이 글에서는 상기의 금속화 방법이 아닌, 금속염 함유 폴리머를 수소화 붕소나트륨 수용액으로 환원하는 새로운 금속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미드와 폴리알킬렌옥시드 구조를 갖는 폴리우레탄이나 에폭시 수지 등의 가교성 고분자(Cross Link Polymer)의 금속화에 적합하다.

□ 표면 금속화의 메커니즘은 금속이온을 매트릭스의 내부로부터 표면으로 끌어내어, 표면에서 환원시켜 금속화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려면, 1차로 폴리머 내부에서 금속염의 이온화를 촉진해야 하고, 2차로 금속이온이 쉽게 이행할 수 있도록 고체 전해질 구조를 갖게 하여야 하고, 3차로 이행된 금속이온을 환원하여 금속으로 전환시켜야 한다.

□ 실험에 사용한 금속염은 염화코발트와 염화니켈이고, 고분자 고체 전해질은 폴리에틸렌글리콜 구조의 고분자에 과염소산리튬을 용해한 것이고, 경화제는 산무수물계 경화제(酸無水物系 硬化劑)이다. 경화가 불충분하게 되면 환원 처리를 하여도, 필름표면에 금속이 석출되지 않고, 환원욕(還元浴)으로 이동한다.

□ 본 기술은 코발트와 니켈을 금속화한 것이지만, 다른 금속도 금속화가 가능해지면, 공정이 번거롭지 않고 공해의 발생이 비교적 적어서, 수요의 확대가 예상되고 환경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저자
Shiba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48(1)
잡지명
접착(A041)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3~38
분석자
엄*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