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용 윤활유의 최근 동향 : 연료 전지차에 관련된 가공과 성능의 트라이볼로지
- 전문가 제언
-
□ 연료전지차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수소인프라 구축, 수소저장법 등과 함께 연료전지의 고효율화가 중요하다. 고효율 연료전지 개발에는 스택내 분리기의 가공 등, 가공기술과 트라이볼로지적인 과제 해결이 필요하다.
□ Daido Metal은 Nagoya공업대학과 공동으로 물방울의 표면에 미량의 유제를 부착시켜서 가공점에 공급하는 환경친화적이며 에너지절약형의 OoW법(상품명 JOOM)을 개발했다
□ 이외의 대표적인 세미드라이 가공은 미량의 오일 미스트를 포함한 냉풍을 가공점에 분사하는 냉풍가공, 5~10cc/h의 극미량 오일을 분사하는 MQL 등이 있다. 한편, 세미드라이 가공의 취약점인 냉각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기름·물 미스트를 동시에 절삭점에 공급하는 방법, 약한 공기흐름에 의해 미량의 절삭유를 액상 그대로 공급하는 방법, 휘발성 유제 사용으로 잔재를 전혀 남기지 않는 방법 등이 연구 중이다.
□ 최근 각종 가공액에 3종류의 초음파진동(1.6MHz, 2.4MHz, 3.0MHz)을 중첩시켜 OoW가공 특성을 향상시킨 megasonic 가공법이 개발되어, 종전에는 대응이 곤란했던 미세가공 및 초정밀 가공에서 그 효과를 크게 얻고 있다.
□ NTN에서는 종래의 PEEK수지 기재의 대신에 유동성이 우수한 PPS(Poly Phenylene Sulfide)수지 기재의 「BEAREE AS」시리즈를 개발하여 고정밀도의 tip seal 등을 상품화 했다.
□ 향후, 냉각기능 등을 보강한 효과적인 가공법 개발, 경사기능합금 기술 개발 등에 의한 공구 재료 개발, 고면압용 습동용 재료 및 씰 등의 부품 개발 등을 통해, 연료전지 핵심 부품인 스택 등과 관련기기의 원가저감과 장수명화로, 21세기의 화두인 친환경성과 대체에너지의 조건을 만족하는 연료전지차의 상용화 조기 실현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Niwa Kosabur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455)
- 잡지명
- Journal of economic maintenance tribology(B48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6~41
- 분석자
- 조*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