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조종하는 로봇들(Robotics controlled by operators)
- 전문가 제언
-
□ 여기서 제시한 로봇의 전형적인 두 가지 타입은 로봇의 이상적인 상(像)으로서의 완전자율형 로봇인 아톰과 인간이 조정하는 원격조작형 로봇인 철인 28호이다. 인간이 조종하는 이 로봇은 원자력시설은 물론이거니와 우주·심해·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약하고 있다. 여기서 소개하는 원격조작형 로봇은 텔리로보틱스(telerobotics)와 네트워크 로보틱스(network robotics)이다.
□ 로봇의 원격제어 분야에서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1950년대의 원자력기술의 발전과 의수(義手)와 같은 신체장애자용 보호장구와 관련하여 생성된 텔리오퍼레이션(teleoperation) 기술이 1970년대에 와서 로봇기술을 가미한 관리제어로 발전되었고, 1980년대에는 텔리로보틱스라고 불렸다. 더욱이 1980년대 이후에는 고도의 실시간 임장감을 구사한 원격임장감(遠隔臨場感)을 이용하는 원격임장감제어의 새로운 개념이 탄생하여 급속히 발전되어 왔다.
□ 텔리로보틱스의 대표적인 것에 마스터 슬레이브 머니퓰레이터(MSM; Master Slave Manipulator)가 있으며, 인간은 마스터 머니퓰레이터를 움직여 지령을 내리고 이 지령이 슬레이브에 보내져 마스터와 동일하게 슬레이브를 움직이는 구조로 되어 있다. 텔리로보틱스의 예로 일본에서는 ‘심해 6500’이라고 명명된 심해조사정에 이용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우주개발을 위해 개발된 NASA의 화성 로버 ‘Sojourner’가 원격조작형 로봇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수술 로봇으로 Intuitive Surgical사의 ‘da Vinci’ 등이 개발되어 실제의 임상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다.
□ 네트워크 로보틱스는 정보 네트워크에 접속된 로봇시스템으로 세계 모든 사람들이 다양한 로봇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장소에 관계없이 여러 곳에서 작업을 수행하고, 자기 분신을 세계 여러 장소에 보낼 수도 있게 될 것이다. 또한 고령화사회에서의 간병문제와 회사에서 근무하면서 지방에 있는 부모 간병문제 해결, 섬에 사는 사람들이 도시의 대학병원에서 고도의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등 네트워크 로보틱스를 잘 활용하여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일익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Tadashi KOMATSU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39(1)
- 잡지명
- 설계공학(D12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25~31
- 분석자
- 이*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