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생활 지원 로봇의 설계 지침과 로봇 정보 가전의 개발(Cutting Edge of Advanced Robotics in Japan : Design Criteria of Life Supporting Robots and Development of a Robotic Home Appliance)

전문가 제언
□ 생활 지원 로봇을 기능적으로 분류하면 (1) 고령자나 가족 등의 물리적 지원, (2) 정보적 지원, (3) 간접적 지원, (4) 인프라적 지원기기 등이다. 이 중 물리적 지원에는 본인 자신의 이동을 위한 지원과 대상을 이동시키기 위한 지원이 있는데, 이러한 지원기기를 RT라고 하여 RT 기기1부터 RT 기기5까지 분류가 가능하다.

□ 여기서 RT 기기1은 자기가 이동하는데 필요한 기기로 리프트나 보행기가 해당된다. RT 기기2는 대상 물건을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기기로 암(arm)이나 카트가 있다. RT 기기3은 정보적 지원기기로 커뮤니케이션 기기 등이 해당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건강관리 등을 행한다. RT 기기4는 단독작업을 수행하는 기기로 세탁기나 청소기 등 자기와는 직접 관련되지 않는 장소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끝으로 RT 기기5는 위의 기기들을 지원하는 인프라적인 것으로 문, 창, 커튼 등 RT화되어 있는 것들이다.

□ 생활지원 로봇의 설계지침은 아직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지는 않으나 일본 로봇공업회가 추진하고 있는 표준화나 설계지침을 고려한 주요 지침으로 저비용화, 신뢰성, 안전성, 프라이버시 보호 등이다. 그리고 전개방법으로는 첫째, 하드웨어를 공통화하고 소프트웨어를 포함하여 모듈화함으로써 커스터마이즈를 가능하게 하여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로 성능을 향상시킨다. 둘째, 자율성 면에서 기능을 특화하고 인간을 개입시켜 직접 판단하거나 인간과의 관계 형성으로 자율성을 향상시킨다. 셋째, 가정에 국한하지 않고 사용 환경을 한정하기 쉬운 공공시설 등에서 응용해 나가는 것도 보급의 한 방법이 될 것이다.

□ ROBODEX2003에서는 로봇 정보가전의 개발을 위해 정보가전 기능과 시큐리티 기능으로 나누어 소개하였다. 전자는 네트워크 환경이 진전됨에 따라 인간과 연계하는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므로, 누구나 간단히 네트워크에 연계된 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로의 기능이며, 후자는 빈 집을 감시하는 이동형 카메라나 간호가 필요한 고령자, 환자의 상태를 감시하는 이동형 카메라의 기능이다. 방법에 관한 관심도가 매우 높아 2002년도에도 약 1조엔의 시장 규모였다고 한다.
저자
Nobuto MATSUHIR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4
권(호)
39(1)
잡지명
설계공학(D122)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3~18
분석자
이*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