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압과 휴먼 인터페이스
- 전문가 제언
-
□ 제조업계를 중심으로 노동환경이 크게 변화되고 노동력의 고학력화 및 고임금추세로 기업으로 하여금 생산 자동화의 실현이 요구되고 있다.
□ 현재 우리나라는 중국을 비롯한 신흥 공업국의 산업 발전 가속화에 따라 국내 제조업의 국제경쟁력이 상실되어 가고 있으므로 후발 공업국이 쉽게 따라올 수 없는 첨단 산업분야의 육성 개발을 통하여 고부가가치 및 고품질 첨단산업제품을 생산 판매토록 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해결방안의 일환으로 메카트로닉스 산업 분야의 육성 발전이 대단히 중요하다.
□ 메카트로닉스 기기의 구성은 개념적으로 구분 정리하면 크게 분류하여 기계 본체부, 정보처리 및 소프트웨어부, 센서부, 액추에이터부로 구분되며, 이와 같이 메카트로닉스(Mechatronics) 산업은 기계, 전자, 정보처리 기술을 포함하는 첨단 산업분야이다.
□ 한편 유·공압 기기분야는 메카트로닉스 기기 분야 중 1개 분야로서 NC공작기계산업, 로봇산업, 광산 및 건설기계산업, 항공우주산업 등과 같은 주요 산업분야에서 제품의 자동화와 휴먼 인터페이스화를 실현시키기 위한 핵심 분야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유·공압부문에 대한 국내기술수준은 일본, 미국, 독일 등 공업선진국에 비하여 아직 미흡한 실정에 있으며 유압회로 설계기술을 비롯하여 유압제품의 정밀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유압펌프, 유압모터, 유압밸브 등을 비롯한 유압 핵심부품류의 품질 향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제품의 생산성 및 품질향상을 위한 설비 자동화 수준이 현재 대기업의 경우 많은 발전을 이룩하여 생산라인의 자동화 단계에 있으나, 일본, 미국, 독일 등 공업선진국의 초일류 기업에서와 같이 CIM(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이나 IMS(Intelligent Manufacturing System)와 같은 첨단 생산 시스템의 개발 적용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 있어, 첨단 생산 시스템의 실현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추진 전개되어져야 할 것이다.
- 저자
- Hironao YAMAD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42(13)
- 잡지명
- 유공압기술(E05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32~38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