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압과 휴먼 인터페이스
- 전문가 제언
-
□ 유․공압 기술은 모든 산업의 광범위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며, 고령화․복지사회의 도래에 따라 휴먼 인터페이스의 측면에서 볼 때, 고부가가치 제품의 개발 이용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 한편, 공기압 구동시스템은 공기압의 특성에 따라 위치제어 성능은 유압시스템에 비하여 떨어지나, 힘의 제어관점에서 우수하므로 힘의 정보를 갖춘 휴먼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의사들이 환자들에 대한 심근 촉진 시뮬레이터로서의 적용 잠재력이 높은 상황에 있다.
□ 공기압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휴먼 인터페이스 기술을 이용하여 인체표면의 근육 응어리 부위의 심근접촉점에 탄성특성을 검출 인지하고, 근육의 응어리 부분을 이완시키도록 하는 심근촉진 치료기술 개발적용의 잠재력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실용적인 관점에서 공기압식 병렬 매니퓰레이터에 의한 심근촉진 시뮬레이터 개발 이용은 실용적인 관점에서 한층 더 나은 제어성능의 향상이 이루어져야만 할 것으로 판단된다.
□ 한편, 국내 유·공압 기기는 현재 제어용 마이크로컴퓨터를 중심으로 한 전자기술이 도입되고 메카트로닉스 기술의 발전에 따라 고정도화, 고품질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로봇, 건설중장비, 광산기계 등의 핵심부품으로 사용이 활발해지고 있다.
□ 그러나 유·공압 부문에 대한 국내 기술수준이 미국, 일본, 독일 등 선진공업국에 비하여 아직 미흡한 실정에 있으며 유압회로 설계기술을 비롯하여 유·공압 제품 정밀도에 많은 영향을 주는 액추에이터, 밸브류 등, 유·공압 핵심부품류의 품질 향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Masahiro TAKAIW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42(13)
- 잡지명
- 유공압기술(E05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39~44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