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로봇을 이용한 장시간 무인 기계가공 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현재의 여건을 감안할 때 무인 기계가공은 업계의 꿈이 아닐 수 없다. 벌써 오래전부터 6~12개의 팰릿과 상당수의 공구를 장착할 수 있는 툴 매거진을 가지고 있는 머시닝센터를 활용하여 하루정도의 주야간 무인가공을 실행하고 있다. 또한 초기의 과다한 설비투자를 실시한 기업에서는 연중무휴 무인으로 기계가공을 실시하여 생산코스트를 낮게 하는 것을 희망하고 있다.
□ 그러나 작업자가 실행하고 있는 작업 중 어느 정도까지 기계로 대체 하느냐에 대한 것은 경제성, 정밀성을 고려하여 그 경계점을 설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입체센서, 시각센서, 힘 센서 등 요소기술을 활용하여 까다로운 작업, 즉 가공물을 지그에 탈착하는 작업, 버를 제거하거나 세척작업까지 지능로봇에 의하여 작업을 대체하는 것은 무인가공에 진일보한 새로운 도전임에 틀림없다.
□ 접근 방식으로 최종목표를 일단 정하여 점차적 접근(개선)을 시도하여 과잉설계(over engineering)에 의한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과 경제성을 충분히 고려한 실행이 수반되어야 하며, 자체 생산기술 인력을 활용하는 방법과 외부전문 용역을 활용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 저자
- HARIKI KAZU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44(13)
- 잡지명
- Tool engineer(B23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23~27
- 분석자
- 마*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