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계가공의 자동화, 무인화 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최근에 와서 제조업을 둘러싼 기업환경이 급격하게 변화됨에 따라 제품수명의 단명화, 고객욕구의 다변화, 가격경쟁의 극심화 등에 대응해 나가기 위해 유연성이 높은 생산 시스템의 구축과 아울러 자동화·무인화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게 되었다. 다시 말해서 IT 관련 기기의 고기능화, 저가격화에 힘입어 각종 정보를 얻고 공유하게 되었으며, 리드타임의 단축이나 작업물의 기계가공에 대한 유연성 등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자동화·무인화 시스템의 일환으로서 디지털 매뉴팩처링(digital manufacturing)으로 대표되는 통합적인 생산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고조되고 있다.
□ 종래에는 자동화·무인화 시스템이 컨트롤러에 의해 기기의 집중제어와 데이터의 집중관리를 해 왔으나, 오늘날에 와서는 앞에서 언급한 새로운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복수의 [가공 셀]과 같은 소규모 시스템에 의한 분산제어와 네트워크를 배경으로 한 데이터의 일원화 관리를 하는 쪽으로 옮겨지고 있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데이터의 일원화 관리의 일환으로서 자동화·무인화 시스템에서는 컨트롤러가 다른 시스템이나 컴퓨터 및 네트워크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생산계획과 가공물의 가공변경에 대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
□ Osaka 기공에서는 자동화·무인화 시스템의 컨트롤러로서 VM(Visual Manager)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 시스템의 운영에 있어서 작업물 가공 프로세스를 첫째, 가공 스케줄의 작성과 편집, 둘째, 가공을 위한 선행작업준비, 셋째, 작업물 가공, 넷째, 완료작업의 실적집계 등으로 하고 있다.
□ 앞으로의 자동화·무인화 시스템은 디지털 매뉴팩처링으로 대표되는 통합적인 생산 시스템의 구축으로 제품수주-제조-판매-서비스와 기획-개발-설계-제조의 중요한 두 가지 요소들의 흐름을 공통분모로 하여 제조나 기계가공의 중심적인 역할수행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생산성, 유연성, 그리고 확장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 저자
- KOSAKA NAGATSU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44(13)
- 잡지명
- Tool engineer(B23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40~45
- 분석자
- 이*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