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자 액추에이터의 개발과 응용
- 전문가 제언
-
□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대표적 액추에이터는 전자/정전모터이다. 마이크로시스템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러한 모터들의 마이크로화가 진전되고 있으나 마이크로세계에서의 특수한 환경조건과 필요한 구동력을 얻기 위한 새로운 액추에이터기술이 센서와 함께 각종 재료특성을 이용하여 매우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 이 자료에서 다루고 있는 고분자 액추에이터는 이미 그 재료의 특성이 제어성능, 유연성, 구동력, 구동시간, 저전압 구동성능 등에서 우수한 점이 파악되어 마이크로 그리퍼, 인공안구, 로봇 팔, 인공피부 등의 구동용 액추에이터로서의 가능성이 제시되어 왔다.
□ 국내에서도 최근 MEMS기술연구의 활성화에 따라 고분자 액추에이터기술개발과 응용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정부(과학기술부)지원에 의한 “지능형 마이크로시스템”프로젝트를 통해 2000년 이후 “고분자재료를 이용한 생체모방 액추에이터”과제수행이 그 예이다.
□ 국내 일부 대학의 MEMS연구그룹에서도 전도성 고분자 액추에이터를 세포정렬․조작용(Cell Manipulator), 약물전달시스템, 인공근육 등에 응용하는 연구가 최근의 학술대회에서 발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이 분야에 대한 연구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는 상황이다.
□ 근육은 가장 이상적인 액추에이터로 일컫는다. 이 자료의 응용 예에서 밝히고 있듯이 고분자 액추에이터는 특히, 안구모델, 손가락 구조, 인공피부, 인공근육, 로봇 팔(인간과 공존하는 휴머노이드 로봇용) 등 생체를 대체하는 인공구조체를 위한 유망한 액추에이터로서 활용하기 위한 응용연구가 각국에서 활기를 띨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에서도 정부의 지속적인 연구지원과 연구진의 분발이 요구되는 테마이다.
- 저자
- OHNISHI Kazu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47(12)
- 잡지명
- 기계설계(A05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39~44
- 분석자
- 박*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