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형상기억합금에서 도메인 구조의 해석(Recent initiatives in R&D of shape memory alloys : Recent studies of domain structures in shape memory alloys)

전문가 제언
□ 형상기억합금은 기능성 재료 중에서도 그 응용 범위가 나날이 늘어나고, 그 기능 또한 계속 개발되고 있다. 형상기억 효과가 어디에서 유래되는가를 밝히기 위한 연구와 노력이 계속 요구되는 이런 때에 도메인 구조의 해석을 위한 방법을 새롭게 시도한 이 보고는 미세 결정의 격자구조와 쌍정(雙晶) 자벽(磁壁) 등의 변태 과정을 눈으로 확인시켜주는 보고여서 높이 평가된다.

□ 마르텐사이트 변태는 냉각에 따라 고온의 모상(母相)에서 저온상(martensite)으로 결정 구조가 변할 때 모상의 원자들이 별개로 움직이지 않고 서로 연대된 체로 집단으로 변위를 일으키며 새로운 결정 구조로 변하는 변위형 상변태로 무확산형의 상변태인데 형상기억합금에서는 모상이 마르텐사이트로 변태하기 전의 전구 현상이 있음을 밝힌 내용은 본고에서 전자현미경의 새로운 이용 방법이라는 신기술의 큰 성과로 본다. 또 이 전구 현상에서 본 미세 도메인이 어떤 역할을 하는가에 대한 향후 연구에도 많은 기대를 가져본다.

□ 이러한 노력들을 통하여 강자성 형상기억합금에서 학문적 관점에서 문제로 남아있던 자구(磁區)와 형제정의 대응 관계, 자장 유기 변형의 온도 의존성, 쌍정전위(雙晶轉位)에 미치는 자장의 효과 등을 명확히 규명하는 데도 도움이 되는 방안들이 속속 연구될 것으로 기대된다.

□ 형상기억합금에 대한 연구는 우리나라에도 매우 왕성하다고 한다. 기능재료로서의 그 위치를 생각할 때 더 많은 성과를 기대함은 첨단 분야에서의 우리의 경쟁력이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달성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저자
MURAKAMI Yasukazu ; SHINDO Daisuke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74(2)
잡지명
금속(A112)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32~137
분석자
양*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