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 마크 생분해성 윤활유
- 전문가 제언
-
□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이라는 명제아래, 세계 주요각국은 에코라벨(환경마크)제도를 도입하고 있으며, 이는 환경친화적이고 자원절약적인 기준에 맞는 상품에만 인정표시로서, 소비자에게 어떤 제품이 다른 제품보다 환경친화적이며 자원 절약적이라는 사실을 시장에 알림으로써, 소비자의 선호에 의하여, 생산자로부터 환경부하가 작은 제품의 개발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 1979년 독일에서 처음 시행된 에코라벨제도는 현재 유럽연합, 북유럽, 미국, 일본 등 약 40개국에 달하며, 우리나라는 1992년 환경부의 “환경기술개발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의하여 도입하여, 환경마크협회가 1994년부터 운영을 맡고 있다.
□ 에코라벨제도를 도입하고 있는 나라 가운데 대부분의 국가는 민간단체가 이를 운영하고 있으며, 유럽연합 및 체코는 정부가, 일본과 독일, 우리나라는 정부와 민간의 협조로 운영하는 등, 각 나라의 문화, 경제, 사회여건을 반영하여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 우리나라는 현재 102개 품목에 대하여 1,478개의 제품이 환경마크를 획득하고 있으며, 윤활유부문은 2사이클 엔진오일, 휘발유 자동차용 엔진오일, 디젤자동차용 엔진오일, 유압 작동유에 대하여 별도의 허가기준이 있고 이들 품목에서 모두 12개의 상품이 환경마크를 획득하고 있다.
□ 선진 각국에서는 정부의 지원에 의해 환경마크를 부착한 상품의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고, 개발도상국들도 이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서두르고 있어, 의도적이든 아니든 결과적으로는 제품의 원료취득, 생산, 유통, 소비, 폐기에 이르는 수명단계에 영향을 주어, 무역활동을 제약하는 요소로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 저자
- Mariko YAMAD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454)
- 잡지명
- Journal of economic maintenance tribology(B48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4~21
- 분석자
- 이*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