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전기의 전자계 해석을 위한 모델링
- 전문가 제언
-
□ 우리들 주변을 둘러보면 전기나 자기적인 기구들이 아닌 것이 거의 없을 것이다. 이렇게 평상시에 접하며 생활하고 있으면서 현상은 느낄 수는 있으나, 이를 정성적 또는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다. 이들 전기장 또는 자기장은 오래 전부터 여러 실험식들과 이론적으로 규명된 식들로 영국의 James Clerk Maxwell에 의해 1873년 완성되었다. 전자기학적인 이론의 전개 과정은 언제나 Maxwell 방정식에 반드시 근거를 두게 마련이다. 회전기 전자계 해석을 위한 모델링에서도 이를 바탕으로 한 재료와 가공에 의한 영향 등을 실험 분석을 통해서 실용적인 방법을 찾아 나가는 것이다.
□ 전동기에서 빼어놓을 수 없는 중요한 소재인 영구자석은 최근에는 자성분에 수지 또는 고무 점결제를 혼합해서 성형한 본드자석을 많이 사용하는데, 수지 제품과 같이 자유로운 형상의 제품을 만들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제품 디자인의 다양성에 맞춰 설계의 자유도를 높여주고 있다. 여기에 쓰는 자성분으로 페라이트, Sm 및 Nd자석의 분말을 이용한다. 자장 중에서 성형시킨 이방성 자석은 전동기의 성능을 등방성보다 훨씬 높여줄 수 있다.
□ 회전기의 진동 및 소음 문제는 이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누구나 항상 이 문제와 끝없는 씨름을 하고 있을 것이다. 진동 없이 돌아가는 물체는 없을 터이니 그럴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문에서와 같이 전동기 단체에 대하여는 해석에 의해서 전자 소음의 예측이 가능한 단계까지는 와 있으므로, 이를 설계 단계에서부터 계속 연구하고 보완하여 나가면 상당한 효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가 된다. 이제 전동기 단체만이 아니라 전동기를 어떤 장치에 어떻게 조립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소음 대책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온도 상승에 따른 문제점 해법도실용적인 범위 내에서 해석하기 쉬운 모델화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Editor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4
- 권(호)
- (942)
- 잡지명
- 전기학회기술보고(39종)(D08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35~50
- 분석자
- 심*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