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공차단기·개폐기의 환경적합성 및 보전 진단기술 - (2) 지구환경에 대한 적합성
- 전문가 제언
-
□ 전력계통에 설치되는 개폐기기는 고압대용량화가 진행되어 왔다. 현재 고품질의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고도의 신뢰성과 보수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환경과의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후 사회적인 변화와 전력수요의 신장 및 전력유통설비의 고도화에 따라 지구환경에 적합한 전력설비기기의 제조·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하여 전력용 개폐기기의 제작에는 온실효과가스인 CO2의 배출을 억제하여야 하는 것으로 환경보호를 고려하여야한다.
□ 인간의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온실효과가스가 대기 중의 온실효과가스의 농도를 증가시켜, 지구 전체적으로 지표 및 대기의 온도가 상승되는 지구온난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COP3에 대하여 개폐기기의 분야에서도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대비가 필요하다. 이후에 제작되는 개폐기기는 SF6가스의 지구환경부하와 SF6가스와의 혼합, 대체가스절연기기의 연구개발에 환경과의 공생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환경문제를 고려할 때 일반적으로 지구온난화 방지에 대한 것만 관심이 많은 것으로 생각되나, 오존층 보호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1987년 ‘오존층을 파괴하는 물질에 관한 몬트리올 의정서’가 채택되어 국제적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1988년 일본에도 오존층보호법이 제정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5년 7월 1일부터 대기오염의 정도에 따라 제한하는‘오존경보제’가 시행되고 있다. 또 이외에도 1977년 환경정책기본법을 제정하였으며, 1992년에 별도의 법령인 ‘환경영향평가법’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그러므로 전기기기의 제작에도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재료(예를 들면, 프레온가스 등)의 사용을 억제하여 새로운 제품의 개발에 주력하여야 한다.
- 저자
- Tech. Report IEE of Japan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3
- 권(호)
- (941)
- 잡지명
- 전기학회기술보고(39종)(D08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3~63
- 분석자
- 유*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