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속도로 교통관제시스템의 고지능화

전문가 제언
□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는 도로인프라로 실현될 수 있는 것이 많고 개발주체로 있는 관공서와 정보통신회사와 전기메이커 및 자동차메이커들과 연동하여 개발방향성을 일치시킬 필요성이 있다. 기대되는 인텔리전트의 효과는 정보통신의 효율화와 고지능화에 대한 요구의 유연한 대응, 호환성, 상오접속성의 확보, 프로토콜의 범용화, 투자비용의 효율화로 생산비용의 억제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재해발생 시의 상황파악지원, 복구용 차량의 배치지원, 재건 시의 도로교통정보의 제공으로 피해정보, 복구정보의 재해정보와 자재 및 기재관리정보, 영상정보를 일원화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 ITS관계법령 제정 등 ITS의 효율화에 힘쓰고 있으나 관련업계의 소극적인 참여로 활성화 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상은 ITS부문의 인프라에 해당하는 교통관리 서비스분야가 약 수십%에 해당되고 금액적으로 약 수조원에 달한다. 따라서 국가 ITS규격 표준화가 국제표준화와 연동하여 한국국가표준이 기능과 역할에 부합되도록 개발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미래의 실현가능성이 높은 규격표준의 제정이 필요하다.

□ AHS(advanced cruise-assist highway system)는 지능화한 인프라를 유지하는 교통정보와 지능화한 차량 간을 결합하는 통신기술이다. 따라서 향후에 추진되어야 할 과제는 교통관제 시스템의 기술요소를 수집・처리・제공・통신의 4개요소를 시스템화하는 것이 중요한 시스템의 구축이다.

□ 교통정책과 교통정보기술과 교통 환경오염과 운영효율화 정책들의 제반문제에 따른 현상을 쌍방향 통신이용서비스로 카네비게이션 시스템, 일반가입전화와 전용회선의 퍼스널컴퓨터 시스템, 인터넷 등 ITS의 사전분석에 의한 4개 기술요소로 시스템화하는 교통관제 시스템을 구축하여 도시 활동의 활발화, 도시교통기능의 확보, 지역경제활동의 발전에 기여하는 국토개발이 필요하다.
저자
Editor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3
권(호)
(938)
잡지명
전기학회기술보고(39종)(D083)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24~57
분석자
임*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