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유기/금속 하이브리드 나노재료(Creation of Organic-Metallic Hybrid Nano Materials)
- 전문가 제언
-
□ 덴드리머(dendrimer)는 dendro(그리스어=tree like)+polymer의 뜻으로 이름 자체가 의미하는 바와 같이 매우 많은 가지(branch)가 규칙적인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올리고머(oligomer) 또는 고분자를 말한다. 초분기(超分岐, hyperbranched) 고분자는 덴드리머와 구조적으로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덴드리머의 분자량 분포가 거의 1이며 구형에 가까우며 최외각에 작용기를 많이 갖는 반면, 초분기 고분자는 균일 분자량(monodisperse) 특성을 가지지는 않지만 구형 형태를 가지면서 덴드리머에 비하여 간편하게 합성할 수 있어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 덴드리머와 같은 단일분자량․단일구조의 고분자에 대하여 유기/금속 하이브리드 나노재료에 필요한 유기물로서의 기대가 크다. 현재 덴드리머를 금속이나 금속 클러스터를 내부에 포함시킨 분자 캡슐(capsule) 촉매로서 이용하는 등의 시도가 많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 즉 덴드리머 내에서 금속의 위치와 개수를 정밀하게 조절하는 것은 아직까지 실현하지 못하였다.
□ 최근에 덴드리머 내의 전자밀도 기울기가 존재한다는 것에 착안하여 페닐아조메틸 덴드리머라 하는 신형 덴드리머를 개발함으로서 단계적 방사상착형성(放射狀錯形成) 거동을 발견하였고, 그것으로 유기고분자 내에서 금속의 위치와 개수를 세계 최초로 자유롭게 제어하는 데 성공하였다.
□ 지금까지 유기물의 금속 착체는 수많이 얻어졌으나 덴드리머와 같은 특수 고분자에 착형성을 시도함으로서 촉매, 에너지 변환, 센서, 발광소자, 특히 약물 수송 분야에 새로운 전기(轉機)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Masayoshi Higuchi ; Kimihisa Yamamot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55(1)
- 잡지명
- 화학공업(A02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1~35
- 분석자
- 김*수
- 분석물
-